"공공부문 구조조정이라는 파고 앞에 기업별노조의 기득권이라는 것은 아무런 쓸모가 없어요. 정부를 상대하려면 더 큰 둥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난 27일 산별노조로의 조직형태 변경을 가결한 산재의료관리원노조 김자동(43) 위원장의 말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1년 간 병원노련 소속 노조 위원장으로 활동했는데, 정부를 상대하기에는 개별 노조의 힘이 너무 약하다는 것을 절감했다"며 "공공부문 구조조정을 앞두고 조합원들 사이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조합원 토론회와 지역지부 간담회 등을 거쳐 세 번의 도전 끝에 산별 전환을 가결했다"고 말했다.

산재의료원노조가 산별 전환을 선택할 수 있었던 데에는 지난해 5월 총 23일에 걸쳐 진행된 외주·용역화 철회 농성이 기준점으로 작용했다. 당시 병원측은 신규고용 인력 45명 가운데 간병인 등 34명을 외주화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노조는 "노동부 산하기관이 비정규직 양산에 앞장서고 있다"고 반발했다. 당시 보건의료노조가 노동부장관 면담을 추진하는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발 벗고 나섰고, 그 결과 외주화 계획은 철회됐다. 김 위원장은 "개별 노조가 노동부 장관을 만나기는 정말 어려운 일"이라며 "당시 우리 노조의 조합원들이 산별노조의 힘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중복기능 통폐합을 뼈대로 한 새 정부의 공공기관 구조조정 계획에 대해서도 "정부가 각 기관의 특성을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대형병원이 기피하는 장기치료 환자들이 산재병원의 주요 고객입니다. 또, 재활 수가가 낮아 병원의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재활 환자가 대부분입니다. 이들은 일하다가 다친 사람들입니다. 이들을 치료해 복직하게 만드는 것이 산재병원인데 정부는 우리 병원의 이같은 특성은 들여다보지 않고, 병원 인력 줄이기에만 급급한 것 같습니다."

김 위원장은 "의료 서비스는 사람의 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라며 "사람을 줄이면 서비스의 양과 질이 줄어들고, 이는 환자들의 외면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매일노동뉴스> 2008년 2월 29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