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공적자금 투입대상 은행노조들의 집단 탈퇴와 경찰의 검거 대상자 확대 조치 등 12. 28 파업유보 이후 '악재'가 계속되고 있는 금융노조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평화 등 4개 은행지부가 노조동의서 제출을 강행하면서 자진 탈퇴한 이후 '조직 이탈' 현상은 소강 상태를 맞고 있지만 정부당국에서 일부 공정자금 투입 대상 은행지부들에게 다시 금융노조 탈퇴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부가 12. 22 파업 관련 검거 대상 인원을 확대하는 등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지도력 공백상태가 장기화될 것이 우려되기도 한다.

금융노조는 우선, 12. 22 파업을 이끌었던 총파업투쟁위원회 체계를 박창완 금융노조 정책국장을 의장으로 한 5인 비상대책위원회로 전환, 지도력 복구와 조직 추스르기에 나섰다.

이용득 위원장과 김기준 사무처장, 김동만 조직국장 등 핵심지도부 3명이 정상적인 직무 수행이 불가능한 수배 상태에 처한 상황에서 더 이상 지도력 공백상태를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금융노조 비대위는 2일 오후 회의를 갖고, 금주 중으로 대표자회의를 열어 수배자 문제와 노조동의서 제출 문제 등 현안 문제를 논의, 대응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 이전까지는 5인 비대위가 매일 오전 모임을 갖고 상황을 점검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선 또 경찰이 당초 10명이던 검거 대상 인원을 21명으로 늘이고, 특히 추가 검거대상이 국민과 주택은행지부의 현장 간부들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과 관련, 수배자 거취 문제는 변호사 자문을 거쳐 이용득 위원장과 협의한 뒤 결정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한편, 금융노조 소속이던 평화, 경남, 광주, 제주은행 등 4개 지부는 공적자금 지원을 이유로 한 예금보험공사의 노조동의서 제출 요구와 관련, 논란 끝에 구랍 30일 금융노조를 탈퇴하고 자체 동의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한빛과 서울은행지부는 지부장이 서명한 동의서에 금융노조 비상대책위원회의 확인서를 첨부하는 형식으로 논란을 진화했다. 이들 지부는 금융노조를 탈퇴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