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서울우유지회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는 것은 화물연대나 노조에 대한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극단적인 혐오감이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협동조합은 지난해 5월 화물 지입차주들이 화물연대에 가입한 뒤 4명의 조합원들을 무연고지로 전출시켜 반발을 샀다. 또 새롭게 운송계약을 맺을 때에는 회사가 반대하는 단체에 가입할 경우 불이익 처분을 감수한다는 각서도 강요했으며, 이를 공증까지 받았다.

서울우유지회가 파업을 시작한 뒤에는 조합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손해배상금 청구 등을 언급하면서 탈퇴를 강요했고, 이미 운송을 끝낸 물량에 대해서도 파업 참가자들에게는 운송비를 지급하지 않아 말썽을 빚고 있다. 때문에 지회는 화물연대 인정과 조합원에 대한 불이익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우유 관계자는 "화물연대는 정부에서도 인정하지 않는 단체로, 서울우유는 단체협약을 체결할 어떠한 법적 의무도 없다"고 주장했다.

서울우유가 낙농업에 종사하는 농민들이 출자해 만든 협동조합이라는 점도 사태해결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협동조합은 젖소 5마리 이상을 사육하는 2천700여명의 낙농업자들로 구성돼 있고, 이 업자들이 사용자인 셈이다. 따라서 임금인상이나 운송료 인상 등을 결정하는 것도 회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특히 비영리단체인 만큼 수익과 상관없이 협동조합 회원들이 생산해낸 우유를 매입해야하고, 일정정도의 수익을 보장해 줘야 한다. 때문에 서울우유는 회사운영실적과 상관없이 지원금 명목으로 매년 400억원 정도의 금액을 회원들에게 사전 배당한다.

이렇다 보니 서울우유 제조공장 노동자들이나 화물운송기사들에게 투자되는 금액은 한정될 수밖에 없고 화물운송료 동결이나 과적강요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노조에 대한 심한 거부감도 비영리단체 협동조합이라는 특징에서 나온다고 볼 수 있다.

한국노총 소속인 서울우유노조도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지난 2005년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11월 1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