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의 이주노동자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업연수생제도와 고용허가제도를 통해 국내로 들어온 이주노동자를 접할 기회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친밀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노동연구원 오계택 부연구위원이 17일 발표한 ‘이주 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따르면 1998년과 2007년 각각 조사한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척도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1998년 7~8월 이주노동자를 고용한 189개 업체의 내국인노동자 383명과 2007년 7~8월 이주노동자를 고용한 322개 업체의 내국인노동자 500여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내국인노동자들의 중국인, 조선족, 동남아시아인(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보가더스 척도)를 측정한 결과 회사 동료나 가까운 이웃 등으로 대부분 수용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가장 큰 폭으로 가까워 진 것으로 나타났다.

<표>를 보면 ‘같은 작업장의 동료로 찬성’이 조선족에 대해 2007년 82.5%로 97년 79.8%에 비해 2.7%포인트, 중국인에 대해 2007년 73.8%로 97년 69.8%에 비해 4.0%포인트, 동남아시아인에 대해 2007년 81.7%로 97년 68.5%에 비해 13.2%포인트나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까운 이웃으로 찬성’이 조선족에 대해 2007년 64.5%로 97년 61.9%에 비해 2.6%포인트, 중국인에 대해 2007년 71.8%로 97년 70.6%에 비해 1.2%포인트, 동남아시아인에 대해 2007년 74.4%로 97년 64.8%에 비해 9.6%포인트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우리나라 국민으로 찬성’이나 ‘절친한 친구로 찬성’, ‘자녀의 배우자로 찬성’ 등에서도 모두 97년에 비해 수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국민으로 찬성’이나 ‘자녀의 배우자로 찬성’ 항목은 이주노동자(일본인, 미국인 제외)를 대상으로는 여전히 50%대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이들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계택 부연구위원은 “내국인의 외국인과 외국문화에 대한 경험의 역사가 길어짐에 따라 이들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깊어지고 있다”며 “그러나 전반적인 인식은 개선됐지만 아직도 이주노동자를 우리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받아들이고 삶을 영위하는 것에 대해서는 사회적으로 광범위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상태”라고 분석했다.
 

 
 
<매일노동뉴스>2007년 9월 18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