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위기가 발생한 이후 1년만에 약 116만개의 일자리가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전병유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20일 한국노동연구원 주최의 '2001년 실업전망과 대책에 관한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 연구위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97년 10월부터 98년 10월까지 약 116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총 일자리수(취업자수)는 10월 기준으로 2,141만명에서 2,024만명으로 줄었다.(표 참조) 또 이후 빠른 경기회복으로 98-99년 사이에 90만7천개, 99-2000년 사이에 일자리가 41만8천개가 늘어 총 일자리 수는 경제위기 수준을 능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 연구위원은 "지난 10월이후 경기침체가 본격화돼 총 일자리수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경제위기 기간중 일자리 소멸이 가장 컸던 부문은 제조업(58만2천명)과 건설업(53만4천명)이며 건설업의 경우 제조업과 달리 아직까지 소멸된 일자리를 거의 회복하지 못했다. 이에 비해 경제위기 이후 IT(정보기술업종)부문은 일자리 창출을 주도했는데 총 49만5천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졌다.

아울러 대기업 중심의 상장기업들은 일자리 창출기여도가 크게 떨어진 반면 벤처기업들의 일자리 창출은 활성화됐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99년 10월부터 올해 10월 사이 상장기업의 경우 일자리 창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벤처기업에선 약 6만천개의 일자리가 생겼다.

마지막으로 전 연구위원은 "80년 이후 고실업을 경험한 대다수 선진국에서 일자리는 서비스 부문에서 창출됐다"며 "보수주의적 시장개혁을 추진한 영국도 공공사회서비스 영역에서의 일자리 증가율이 80년대 후반을 제외하고는 가장 높았다"고 소개하면서 시사점을 남기기도 했다.

이와함께 허재준 연구위원은 '2001년 실업전망과 실업대책'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올해는 경기호전전망을 기초로 지난 해 실업대책 예산의 64%인 총 5조9천억원의 실업대책예산을 배정했다"며 "그러나 제2차 기업 및 금융기관 구조조정으로 인해 단기적으로 실업이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추가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허 연구위원은 "내년에는 지속적으로 4대부문 구조개혁을 추진해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 기반을 마련하되 연평균 실업률을 3.8% 이내로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라며 "구조조정으로 인한 실직자, 일용직 실업자, 청소년 실업에 적극 대응하는 등 특성별 실업대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생산적 공공근로사업 및 인턴제는 항구적인 일자리로 전환해 장기적으로 공공 및 사회서비스부문 일자리 확대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