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권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위해서는 사업다각화를 위한 전담인력을 대폭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서병호 연구위원은 13일 "외환위기 이후 은행권 구조조정으로 국내은행들의 총자산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으나, 직원 수의 증가율은 낮다"면서 "지속적 성장의 한계에 직면한 은행들은 사업 다각화 차원에서 비이자사업 등 신규사업 전담인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이와 같이 지적했다.

서 연구위원의 '전담 인력확충 시급론'은 금융노조가 올해 산별임단협에서 근무시간정상화를 위한 '영업시간 단축' 안건을 제시한 이후, 은행권에 적정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는 시점에서 나온 주장이어서 주목된다.

서 연구위원은 국내은행은 신용카드위기를 거친 2004년을 제외하고는 5%이상의 고성장을 달성했으나, 고용 증가율은 자산증가율에 비해 매우 낮다고 비판하면서, "청년실업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행권이 고용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림 참조>

특히 국내은행은 신규채용이 적은 것도 문제지만, 채용인원 중 신규사업이나 특화업무 담당인원이 매우 부족하다는 게 비판의 초점이다.

실제 지난해 직무별 채용현황을 보면, IT 담당 2.4%, 재무 및 리스크관리 2%, 여신심사 1.1%, 투자은행 업무 및 기획, 인수합병, 유가증권인수,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투자은행업을 담당하는 인원은 전체의 0.7% 등인 반면, 일반 경영지원, 개인영업, 영업기획 등 일반 은행업무 담당이 92.1%에 이르고 있다. <표 참조>. 이에 따라, 전담인력 중심으로 직원을 대폭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서 연구위원은 은행권이 신규인력을 충분히 채용할 여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2006년 말 현재 신한, 국민, 우리은행 등 국내 3대 은행의 직원 1인당 총자산과 1인당 영업이익은 각각 87억2천만원, 1억450만원으로 71억5천만원, 8천210만원을 보이고 있는 씨티를 포함한 글로벌 3대 은행의 평균치보다 더 높다. 이는 국내은행들이 신규채용 여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게 서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그는 "비은행업이나 비이자영업은 전통적인 대출영업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직원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며 신규 전담인력 채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5월 14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