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낸 보도자료 때문에 전화했습니다.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요.”

“죄송합니다. 홍보팀 통해서 질의해주시겠어요?”

얼마 전 노동부에서 내놓은 보도자료를 보고, 궁금증이 생겨 보도자료에 명시된 담당자에게 전화를 했더니 되돌아온 대답이었다.

“예? 이해가 안 됩니다. 보도자료를 내셨잖아요. 그런데 담당자가 대답을 못하시겠다니요?”

“이해해주세요. 저희 방침입니다. 모든 언론과의 통화는 홍보팀을 통해야 합니다.”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었다. 보도자료까지 내놓고 담당자가 재량껏 대답을 못한다니? 보도자료 이외의 내용도 아니고 더구나 민감한 사항도 아닌데도 말이다.

이 같은 점을 담당자에게 이야기해도 소용이 없었다. 결국 담당자의 대답은 홍보팀을 통해 이야기해달라는 것이었다.

담당자를 탓하고 싶어서 이 이야기를 꺼낸 것이 아니다. 담당자는 그저 현재의 노동부의 언론정책의 현주소를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을 뿐이란 생각에서다.

왜 이다지도 노동부는 언론에 대해 경직적일까. 두 가지 배경이 있을 것이란 짐작이다. 하나는 현 정권의 대언론정책이 그것이고, 또 하나는 최근 터진 모 신문사의 비정규직법 시행령 보도로 ‘몸을 사리라’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노동부 한 관계자는 이번 일에 대해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없었는데 담당자가 좀 오버한 것 같다”며 “최근 비정규직법 시행령 보도로 그런 (경직된) 분위기가 더 심해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문제는 나중에 담당자와 홍보팀이 대화를 한 뒤에야 그 ‘간단한’ 대답을 듣는 것으로 끝났다. 그 간단한 대답을 듣는데 3시간 가량이 걸렸고.

언론에서 일찍 보도가 나감으로써 당국이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어차피 민감한 법률(시행령)안에 대해 언론은 신경을 곤두세우기 마련이다. 다 된 밥만 바라보는 것은 언론의 역할이 아니다.

그런 점에서 서로간 불편한 관계가 형성되겠지만 사소한 부분까지도 너무 경직적일 필요는 없지 않은가. 대응할 것은 대응하고 따질 것은 따지면 되는 문제이지 않을까.
 
 
<매일노동뉴스> 2007년 4월 18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