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추방운동연합(산추련)이 결성된지 1년반만에 해산 직전에 놓였다.

지난 98년 산재추방운동 10주년을 맞아 민주노총과 산재운동단체들이 현장과의 결합을 높여 산재추방운동의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고 제기, 1년여의 준비끝에 지난해 3월 노동과 건강연구회, 직업병연구소, 마창·거제 노건연대, 울산산추련, 산업재해노동자협의회 등 10여개 단체가 통합해 산추련을 건설한 바 있다.

그러나 노동계 및 산재노동자들의 기대를 모았던 산추련은 1년반만에 해산의 길을 걷게 됐다. 계속된 논란끝에 지난 9일 산추련은 대의원총회를 열어 해산을 결의하려 했으나, 전체 대의원의 2/3가 참석하지 못해 자동유회되고, 내년 1월13일 총회를 다시 열어 해산안을 상정하기로 했다.

산추련이 해산을 결정하게 된 배경에는 중앙(전문가 단체)과 지역(현장)과의 괴리를 극복하지 못해오다, 이같은 입장차가 지난해 이상관 투쟁에서 극명하게 드러나면서 촉발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산추련은 전문가들로 구성돼 정책 및 연구활동을 주로 벌여왔던 노건연이 사무국으로, 마산·거제 등 공단 및 대공장과 밀착력이 강했던 마창·거제 산추련으로 양축을 이뤄왔다. 지역의 경우는 산추련이 현장과의 결합력을 더 높여야 하며 전문가 그룹이 아닌 현장활동조직이라는 자기 정체성이 보다 분명해야 한다는 입장.

반면 중앙측은 대공장 위주의 지원에만 매달리다 보니, 정책과 연구활동에 소홀해지면서 영세사업장이나 산재노동자의 재활문제에 신경을 쓰지 못했다는 지적. 이같은 관점의 차이는 155일의 장기농성 끝에 보상을 이끌어냈던 이상관 투쟁을 평가하는데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지역은 협상에만 무게를 실어 보상차원으로만 한정지었다고 지적하는 한편, 중앙은 투쟁을 계속 지속하자는 것은 당시 상황에서 맞지 않았다고 입장차를 드러냈다.

이같이 골 깊은 불신에 의해 산추련의 해산은 기정사실화돼버렸다. 때문에 일단 현재 노건연 활동 복원이 논의되는 가운데, 발전적 해소와 중앙과 지역간의 상시연대가 가능하도록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