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에서 70명 짜른다는데...”, "생산직 다음에는 우리 차례다"

승강기 업체 티센크루프(ThyssenKrupp)동양엘리베이터가 연초부터 어수선하다. 직원들 사이에 구조조정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고용불안은 외국계 기업에 인수된 이후 일반화된 현상이다. 최근 2~3년 동안은 임금 단체협상을 앞둔 노동조합 내부의 생산직과 서비스직의 요구가 나뉘기도 했다. 생산직 조합원들이 고용보장을, 서비스부서 조합원은 임금인상을 고집해왔다. 생산직이 서비스부서 조합원에 비해 고용불안 체감도가 큰 탓이다. 하지만 올해는 서비스부서 조합원도 고용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생산직을 중심으로 진행됐던 구조조정 바람이 확산될 것이라는 우려다.

관리직 한 관계자는 "과장급 이상의 고용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경비절감차원 시작된 구조조정이 확대되고 있는 데 생산직 다음에는 관리직이 감원 대상이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3위 승강기업체 티센크루프는 2003년 동양엘리베이터 지분 75%를 인수했다. 기대반 우려반이었다. 외자기업의 경영 투명성을 기대한 측면도 높았다. 인수전에는 티센크르푸와 특별단체협약을 체결했다. 5년간 고용보장과 신규 기술투자를 약속받았다.

하지만 기대에 불과했다. 매출액 대비 5%의 신규 기술투자는 이뤄지지 않았다. 대신 2003년 이후 티센크루프의 중국 공장으로부터 에스컬레이터가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공장철수의 우려가 나타났다. 2~3년 사이에 전체 생산량이 40% 감소하면서 우려는 현실화됐다.

지난해에만 110명의 생산직이 회사를 떠났다. 경기도 시화와 안산의 공장도 폐쇄, 충남 천안공장으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명예퇴직이 이뤄졌다. 직접 생산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이들에게는 구조조정으로 받아들여졌다. 전체 1천여명의 직원이 900여명으로 줄었다.

회사는 건설경기 악화와 경쟁심화로 인한 매출감소를 이유로 들었다. 여기에 5년간의 고용보장이 끝나는 내년에 대한 고용불안은 더 크다. 천안공장 한 생산직은 “승강기업계 외자기업의 공장폐쇄와 구조조정은 흐름으로 자리잡았다”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높다”고 우려했다.

구조조정 바람은 승강기 업계 1위 오티스(Otis)엘리베이터도 마찬가지다. 오티스 직원들이 느끼는 구조조정에 대한 불안감도 크다. 99년 오티스로 매각되고 난 이후 해마다 구조조정을 겪었기 때문이다.

오티스는 2000년 인천공장을 시작으로, 2003년에는 창원공장 에스컬레이터 생산시설을 폐쇄했다. 2004년에는 창원공장의 엘리베이터 조립라인을 폐쇄했다. 그리고 올해도 300여명에 이르는 희망퇴직이 실시됐다. 오티스에 매각된 이후 600여명의 생산직이 회사를 떠났다.

오티스엘리베이터노조가 올해 임단협에서 고용보장을 요구하는 이유다. 노조 관계자는 “국내 승강기시장 1위라는 위치도 달갑지 않다”며 “고용불안부터 해결해 달라는 조합원의 목소리가 높다”고 전했다.

 
 
국내 승강기 시장 장악한 외자기업
국내기업 현대뿐…1조원 승강기시장 70% 장악
국내 승강기 시장은 오티스, 현대, 티센크루프 등 메이저급 업체와 수많은 중소업체가 난립한 형국이다. 메이저급 가운데는 현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외자기업이다.

외자기업의 한국 진출은 세계 1위 승강기 업체 미국계 오티스부터다. 국내 시장의 잠재성과 동남아 시장과의 인접성 때문이었다.

아파트, 복합건물 등 고층빌딩이 많고, 건축건설 전망도 밝다. 신규 엘리베이터 수요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된 엘리베이터가 많아 수리·보수 시장도 크기 때문이다. 여기에 동남아 시장의 접근성도 장점으로 부각된다. 외자 기업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각됐다.

오티스는 99년 LG산전으로부터 엘리베이터사업의 지분 80.1%를 인수했다. ‘LG오티스’로 사업을 시작했다. 2003년에는 ‘오티스LG’로 사명을 변경했고, LG지분을 전량 매입한 2005년에는 ‘오티스’로 변경했다.

세계 3위 독일계 티센크루프는 2003년 동양엘리베이터 지분 75%를 인수하면서 국내 시장에 뛰어 들었다. 2004년에는 세계 2위 스위스계 쉰들러는 중앙엘리베이터를 인수했다.

또 같은해 세계 4위 핀란드계 코네(Kone)가 중소업체 수림엘리베이터와 합작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앞서 세계 5위권의 미쓰비시는 2002년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를 출범시켰다.

또 쉰들러는 지난해 초 현대엘리베이터의 지분을 25.5% 매입, 현대엘리베이터의 경영권마저 위협하고 있다.
외국계 기업의 진출은 연간 1조원 규모의 승강기산업 장악으로 이어졌다. 현대를 제외한 외자업체의 시장 점유율은 70%를 넘고 있다.


 
외자기업 공장폐쇄, 중국산 대체
승강기 업계에 외자기업 진출은 국내 생산시설의 폐쇄로 연결됐다. 국내 건설경기 시장의 위축과 세계 각지에 생산망을 구축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의 전략이다. 이로 인한 국내 승강기산업의 고사와 물류창고화 우려도 심화되고 있다.

최대 업체 오티스가 대표적이다. 오티스는 공장폐쇄와 생산직의 감원에 따른 물량 부족분을 외주화와 중국산 수입으로 대체했다. 연간 700~800대 규모의 에스컬레이터 생산은 외주화와 중국공장이 50대 50의 비율을 차지한다. 또 점차 중국공장 비율을 높이고 있다.

2005년의 경우 350대를 국내 외주업체에서 생산했고, 중국공장에서도 350대를 들여왔다. 올해는 10월까지 중국공장 생산이 400대를 넘겼다. 또 엘리베이터의 일부물량도 중국공장에서 들여오고 있다.

티센크루프동양엘리베이터도 유사하다. 2003년부터 중국물량 유입이 시작됐다. 에스컬레이터 전량과 엘리베이터 일부 물량이 여기에 해당한다. 티센크루프동양엘리베이터노조 관계자는 “에스컬레이터는 2~3년부터 국내 공장에서 생산하지 않고 있다”며 “2~3년 전에 비해 국내 생산물량의 40%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외국계 기업의 공장폐쇄는 직접적으로 건설경기 악화 때문이다. 2001년 1만9천대, 2002년 2만4천대, 2003년 2만9천대, 2004년 3만1천대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던 승강기 수요는 2005년 2만7천대로 줄었다. 또 올해는 2만1천대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경쟁입찰 확대로 인한 수주단가 하락도 원인이다. 국내 에스컬레이터 생산단가는 3천만원 선이다. 이에 반해 중국생산은 1천700만원선이다.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 관계자는 “10년 전과 비교해서 납품단가는 변하지 않았다”며 “반면 지속적으로 오르는 인건비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로 인해 국내시장에서 차지하는 중국산 에스컬레이터의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2001년 38대에 불과하던 것이 2002년 44대, 2003년 138대, 2004년 1190대, 2005년 700여대 수준으로 상승했다. 국내 수요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는 국내 제작을 고려하면, 국내 에스컬레이터는 거의 대부분이 중국산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중국산 승강기 유입은 외자기업의 생산효율화 전략차원이기도 하다. 한 국가에서 한 가지 제품만 생산, 생산의 중복을 피해 효율성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오티스는 중국 내에 5곳에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티센크루프는 중국에 2곳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2월 23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