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속노련 가맹노조들은 평균 9만9천원(기본급 대비 9.07%)의 임금인상을 요구했지만, 실제 타결에 이른 금액은 5만9천원(기본급 대비 5.48%)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노조들은 이같은 임단협 타결을 위해 평균 8.28회의 협상을 진행했으며 절반 이상이 1~2개월 내에 협상을 마쳤다. 무교섭 타결한 사업장도 14곳이나 됐다. 지난해 12월 말 이들의 평균임금은 247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금속노련이 지난해 12월부터 1달간에 걸쳐 가맹 조직을 대상으로 ‘2006년도 임금 및 단체협상 결과’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사업장은 전체 416개 중 164개(39.4%, 조합원 수 대비 54.3%)였다. 규모별로는 100~300인 사업장이 48.2%(79곳)로 가장 높았고, 100인 미만이 37.2%(61곳), 300인 이상이 14.6%(24곳)이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57곳), 기계금속(37곳) 순이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임단협에서 노조가 가장 중점에 뒀던 사항은 임금이었다. ‘임단투 역점사항’에 대해 묻는 질문에 70%(3순위까지 복수 응답)에 이르는 106개 사업장이 ‘통상임금 인상’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94곳(60.6)이 고용안정을 꼽았다. 비정규직 문제나 구조조정중지는 각각 9.7%와 6.5%를 차지해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수를 보였다.

고용에 대한 불안감은 많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희망퇴직자를 모집하거나 정리해고를 단행한 곳은 각각 10곳과 2곳 등 5.5%에 불과했다. 반면 정규직이나 비정규직을 새롭게 채용한 곳은 각각 48곳과 37곳으로 40%에 이르렀다. 변동 없음도 29.6%였다.

이같은 흐름은 지난해 기업의 경영상태가 나아진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 사업장 절반이 넘는 59.6%의 사업장들이 매출이나 순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이같은 경향을 반영한 듯 올해 임단협에서도 148곳(중복응답 가능)이 임금 인상요구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고용안정 요구도 124곳이 선택에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2순위를 차지했다. 경영정보공개·경영참가요구도 82곳이 선택해 3순위를 차지하며 중점 요구사항 중 하나로 선택됐다.

노동(조합)운동 측면에서의 역점 사업은 전임자·복수노조 3년 유예 대책방안 마련(133곳, 복수응답가능), 비정규직법 통과이후 후속조치 개선(98곳), 산별노조추진·유산산별통합(94곳) 등 기업별 사안보다는 전체 노동계 사안을 중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금속노련 산별노조 추진에 관해서는 ‘연맹지침에 발맞춰 조직전환 준비작업 중이다’라는 대답이 69곳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관망 중이다’와 별 ‘관심 없다’라고 대답한 노조도 각각 56곳과 21곳으로 ‘추진 중’이라는 대답과 비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임금피크제를 시행하거나(7%) 도입하려고 준비 중인 곳(5%)도 이에 답변한 159개 노조 중 각각 11곳(12%)과 8곳(5%)으로 매우 낮았다. 퇴직연금제를 도입한 곳도 5개 사업장, 3%에 불과했다.

금속노련은 “이번 조사는 각 단위노조의 임단협과 관련된 일반실태를 파악하고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한 것”이라며 “이번 조사를 토대로 앞으로 노련의 임금인상근거와 전략 및 단협요구안 작정 등의 지침을 만드는데 근거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2월 13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