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노사에 눈과 귀가 쏠리고 있다. 성과급 둘러싼 갈등이 전면대결 양상으로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현대차 노사갈등이 올해 노사관계를 가늠하는 '돌발변수'로 떠오르고 있는 탓이다.

그렇다면 현대차가 예전과 달리 성과급 문제에 초강수 대응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노조의 강경투쟁이 예고된 상황에서 차등 성과급 지급을 강행하고, 뒤이어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이유는 무엇일까. 환율과 해외판매 부진으로 주가가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노사갈등 국면이 지속되면 현대차의 손해가 늘 수밖에 없는데도 말이다. 게다다 올해는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이다. 여느 해보다 노사갈등이 심할 수밖에 없다. 현대차 노사갈등이 지속되면 정치권과 정부로부터 뭇매를 맞을 수밖에 없다. 현대차가 노조에 대한 원칙적 대응을 강조한다 하더라도 유리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노동 전문가들은 노사관계 측면에서 현대차의 초강수 배경을 두 가지로 분석하고 있다.

“성과급마저 빼앗길 수 없다”

현대차의 초강경 대응 배경에는 지난해 하반기 이후 노조에 밀리고 있는 노사관계 역학구도의 주도권 되찾기에 초점에 맞춰지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초부터 환율인상, 내수감소 등 내외부적 환경변화를 들어 ‘비상경영’ 선언했다. 과장급 이상 간부의 임금동결 선언도 이끌어 냈다.

하지만 6월 정몽구 회장이 비자금문제로 구속되면서, 주도권은 노조로 넘어갔다. 이어 7월에는 현대차 노사가 임금인상 5.1%에 합의, 과장급 이상 임금동결이 생산직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성과급 축소지급이 노사관계 주도권 되찾기로 풀이되는 부분이다. 노사관계 한 학자는 “임금을 빼앗긴 마당에 성과급마저 내줄 수 없다는 인식이 현대차 경영진에 팽배해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성과급 파문의 확산과정에서 '노조의 부도덕성'에 대한 여론화 했다. 폭력사태로 얼룩진 지난 3일의 시무식도 예견됐음에도 방치했다는 것. 노조는 시무식에 앞서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울 수 있는만큼 시무식을 연기할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현대차는 시무식을 강행, 노조의 반발을 불렀다. 이로 인해 김동진 부회장과 윤여철 사장의 시무식장 입장 과정에서 경비대와 노조원 사이의 우발적인 몸싸움으로 비화됐다.

산별교섭 기선제압 의도

여기에 현대차노조의 금속노조 가입 이후 예상되는 산별교섭의 기선제압의 의미가 강하다.

현대차는 성과급 지급 축소 이유로 한미FTA 반대 등 정치성 파업 34시간을 제시했다. 올해 현대차와 무관한 파업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무임금화’하겠다는 선제적 의사표시로 해석된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가 관행타파와 원칙론을 제기하지만, 속내는 기존 기업별 노사관계를 유지하고 싶다는 의중이 강하다”고 분석했다.

이와 함께 현대차의 성과급 축소지급은 선거국면으로 접어든 노조 내부에 혼선을 불러왔다. 8일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현대차노조와 사전 조율과정 없이 노조에 대해서는 시무식 폭력사태 사과할 것과 현대차에 대해서는 성과급 추가로 지급할 것을 요구하는 중재안을 제시했다.

현대차노조 관계자는 "현재까지는 현 집행부에서 대응한다는 것이 기조지만, 본격적인 선거국면으로 접어든 이후에는 상황을 알 수 없다"고 분석했다.

반면 현대차 관계자는 “노조의 선거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다”며 “회사는 생산목표와 연동된 성과급 지급이라는 원칙적인 입장을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1월 10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