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로 19년째 덤프트럭을 몰고 있는 강두희(48) 씨. 군 제대 후 ‘적게 투자해서 먹고 살 수 있는 길’을 찾던 그는 88년부터 건설업체 소속 기사로 일하다가, 93년 미쓰비시제 15톤 중고트럭을 2,200만원에 구입했다. 그러나 정작 차주가 되고 보니 차량 유지비가 만만치 않아 “트럭으로 번 돈을 트럭이 먹어 치우는” 상황이 이어졌다. 2002년, 10년 굴린 미쓰비시 트럭을 베트남으로 수출 보내고, 강씨에게는 1,700만원의 빚만 남았다.

“그나마 운송비라도 따박따박 나오면 다행인데, 반팔티셔츠 입고 일한 돈을 겨울파카 입고 받는 실정이다 보니…. 우리 사정 모르는 사람들은 돈 좀 늦게 받는 게 뭐 그리 대수냐고 하지만, 1~2월 겨울 비수기, 7~8월 장마 비수기 때 공치는 걸 감안하면….”

건설운송노조 덤프분과 조합원이기도 한 강씨는 “낼모레면 50줄에 들어서는 내가 왜 노조에 가입했는지 아느냐?”며 “원통하고 억울한 우리 사정 아무도 몰라줬는데, 노조에 오면 실컷 울 수 있더라”고 말했다.

울고 싶은 사람은 강씨뿐만이 아니다. 건설운송노조 덤프분과(위원장 김금철)와 전국불안정노동철폐연대가 덤프분과 조합원 525명을 설문조사해 7일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덤프기사들은 적게는 150만원에서 많게는 1억7천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2,814만원의 빚을 안고 있는 이들 덤프기사들의 평균 부양가족 수는 4.1명. 한달 평균 13.9일을 일하며, 하루평균 9시간~12시간 근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2,800만원 빚, 한달의 반은 공치는 날

2006년 6월 현재 국민 1인당 평균 부채액은 1,300만원. 평균 2,814만원의 빚을 진 덤프기사들은 일반 국민보다 두배 이상 빚이 많았다. 빚이 많다보니 신용불량자도 많다. ‘지난 1년간 신용불량자가 된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8.2%가 ‘그렇다’고 답했다. 2006년 10월 현재 전체 경제활동인구 2,397만명 중 12%가 신용불량자인 점을 감안하면, 덤프기사가 신용불량자로 전락할 가능성은 3배 이상 높다는 계산이 나온다.

빚 많은 신용불량자인 데다 딸린 식구도 적지 않은 덤프기사들의 ‘생활수준’이 어떨지를 예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응답자의 83.2%가 ‘나쁘다’고 답했고, 이중 ‘아주 나쁘다’는 응답도 46.5%에 달했다.

“밥만 먹고 살기도 힘들다”는 이들이지만, 트럭 모는 일을 쉽게 포기할 수는 없다. 일단 덤프기사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면, 트럭을 굴리기까지 들어가는 관리비와 처리비용이 만만치 않아 직업을 바꾸겠다는 생각 자체를 갖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이번조사에서도 덤프기사 중 평균근속년수는 12.3년으로 조사됐다.

한 조합원의 말을 들어보자.

“별일 다해보다가 90년대에 덤프기사를 시작했어요. 당시 건설경기가 활성화되면서 기사도 부족하다고 하고, 월급도 많이 준다길래. 그런데 건설경기가 바닥을 치기 시작하면서 물량은 없지, 기름값은 올라가지. 그렇다고 이제 와서 트럭을 팔수도 없어요. 덤프트럭은 구입할 때는 고가지만, 지금처럼 트럭이 넘쳐날 때 중고로 시장에 나가면 똥값이에요. 그래서 이 일을 그만 둘 수도 없어요.”

이렇듯 덤프트럭의 공급과잉으로 기사들이 제값 받고 차를 팔 수도 없는 상황이지만, 기사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차를 팔고 있다. 건설업자들이 운반단가를 줄이기 위해 한번에 많은 양의 물량을 실어 나를 수 있는 대형 차량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85.9%는 15톤 트럭을, 응답자의 14.1%는 앞바퀴가 네 개라서 ‘앞사발이’로 불리는 24톤 트럭을 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5톤 트럭을 모는 덤프기사의 경우 24톤에 밀려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는 24톤 기사들 역시 40톤 덤프 츄레라(트레일러)에 밀려 물량감소를 호소하고 있다. 예전에는 15톤 트럭은 공사현장의 ‘흙’을, 24톤 트럭은 ‘골재’를 주로 실어 날랐으나, 최근에는 24톤 트럭이 흙을, 컨테이너 운반차량으로 설계된 츄레라가 골재를 실어나르는 상황이 일반화됐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55%가 “덤프츄레라와의 업무영역 갈등으로 인해 30% 이상 물량이 감소됐다”고 답했다.

이리저리 단가 깎이고, 1년에 세 번은 운임 떼여

건설공사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하기 어려운 덤프기사들은 배차업체 등 중간업자를 통해 일감을 찾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0.1%가 배차업체에 소속돼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중간업체를 거치지 않고 ‘홀로 일거리를 찾아 나서는’ 기사의 비율도 41.3%에 달했다. 건설경기 침체와 더불어 덤프트럭의 과잉공급으로 배차사무실을 거쳐봤자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지자, 기사들이 ‘알선료’라도 줄여보고자 스스로 일거리를 찾아 나서는 경우가 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무소속’ 기사 중 15톤 트럭 기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지적했듯 대형차량을 선호하는 업계의 추세가 반영된 결과다.

다음은 소형트럭 기사들의 말이다.

“최대 피해자는 15톤 차량이에요. 예전에 건설현장에서 하던 토사 운반을 대형차량들이 하게되니까, 우리도 어쩔 수 없이 가격을 덤핑 치게 되죠. 거의 봉사 수준으로 일하고 있다니까요.”

“배차사무실에서 물량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 그러면 트럭을 몰고 막 돌아다녀요. 예전에 일했던 공사현장에도 가보고, 동네 건설현장에도 가보고. 그러다가 덤프트럭을 필요로하는 현장을 찾으면, 싸게 운송을 해주죠.”

그런가 하면, 배차업체에 소속돼 물량을 공급받는 기사라 하더라도, 건설업계에 만연한 다단계 하도급 구조와 알선 및 재알선 구조를 거치며, 설계가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 낮은 운송단가를 감수해야 한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43%가 “다단계 하도급과 알선 재알선 과정을 거치며 운반단가가 40% 이상 삭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식으로 ‘뚝’ 떨어진 운송단가는 건설현장의 관행상 현금이 아닌 어음결제 방식으로 지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 조사에서 ‘운송료를 한달 안에 받는다’는 응답은 1.2%에 불과했고, ‘고정적으로 정해진 날짜에 받는다’는 응답 역시 2.3%에 그쳤다. 반면 ‘두달 이상 걸려 받는다’는 응답은 50.4%에 달했다. 이같은 관행은 덤프기사들의 생활고를 가중시키고 부채를 늘리는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나마 늦게라도 운송료를 받으면 다행이지만, 운송료를 떼이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번 조사 결과, 조합원들은 지난해 1년간 평균 세번 운송료를 떼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 금액은 평균 45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근무하는 덤프기사들은 허리, 관절, 위장장애에 시달리는가 하면, 공사현장 내 산재 위험에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근무 중 4일 이상 치료를 요하는 사고를 당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9%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중 7.5%는 공사현장 내에서 상·하차 작업을 하던 중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고 후 처리방식을 붇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7.3%가 ‘교통사고로 보험처리 한다’고 답했고, 응답자의 41.5%는 ‘자동차 보험료가 부담돼 본인비용으로 처리한다’고 답했다. 반면 ‘산재로 처리한다’는 응답은 0.9%에 불과했다.
 
<매일노동뉴스> 2006년 12월 8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