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로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한 지 나흘째에 접어들었는데요. 파업 수위가 애초 예상치보다 높아지자 화물연대와 정부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특히 이렇다 할 대책 없이 상황을 주시하고 정부의 경우, 당황한 기색이 역력한데요.

- 한편, 파업 수위는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조합원들은 “조합원 1명당 비조합원 2명을 이번 파업에 동참시키겠다”고 벼르고 있다는데요. 화물연대가 밝힌 공식 조합원 수가 1만2천여명임을 감안하면, 3만6천명이 동참하는 파업으로 크기를 불리겠다는 각오인 셈이죠.

- 그런가 하면, 화물연대의 ‘파업’을 둘러싸고, 노동부가 ‘운송거부’라는 명칭을 쓸 것을 요구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화물연대는 정식 노조가 아니기 때문에 ‘파업’이라는 말은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인데요. 실제 노동부의 이같은 요구를 받아들여, 일부 언론은 기사 본문에 ‘파업’이라는 단어 대신 ‘운송거부’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노동’부가 아니라 ‘사용자’부라는 비난을 스스로 자초하고 있는 노동부의 비겁한 행태를 반드시 응징할 것”이라며 의지를 불태우고 있습니다.

공무원노동자와 농민들

- 지난 2일 열린 민주노총 단위노조대표자결의대회에서 권승복 공무원노조 위원장이 "일부 몰지각한 조합원들이 농민들의 집회를 방해한 일이 발생했다"며 "노조 중집회의에서 재발하지 않도록 지침을 내렸다"고 말했습니다.

- 지난달 22일 한미FTA저지 총궐기 대회에서 시위대가 각 광역시도청 진입을 했는데요. 권 위원장의 말을 들으니 농민들과 노동자들의 시위를 물끄러미 바라보던 사진 속 공무원들 중 일부는 공무원노조 소속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물론 권 위원장 말처럼 일부 몰지각하거나 상사의 지시로 어쩔 수 없이 집회를 방해하는 공무원노동자들도 있겠지요. 하지만 각 시도청에서 노동자와 농민들이 투쟁하는 모습을 바라보는 공무원노동자들의 마음을 어땠을까요?

- 아마 직접 투쟁에 나서지 못하면서 느끼는 안타까운 마음에 몸둘 바를 몰랐을 겁니다.

- 힘겹게 공무원노조특별법 거부투쟁을 벌이고 있는 공무원노동자들에게는 최근 진행되는 민중총궐기 투쟁을 보면서 마음이 더욱 무거울 수도 있겠습니다.

하나은행지부 선거 이후…

- 금융노조 하나은행지부와 서울은행지부의 첫 통합 선거로 관심을 모았던 ‘26대 하나은행지부 위원장 선거’ 결과를 놓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가보죠. 선관위에서는 기호3번 김창근 후보조가 50.02%의 득표로 당선됐다고 공식 발표했는데요.

- 네, 기호1번으로 출마한 이근수 후보조가 “선거규칙에 투표용지 어느 란에도 표를 하지 않은 것은 무효표로 처리하게 되어 있다”면서 “무효표로 처리할 경우 투표인수가 늘어나 3번 후보조는 과반수를 넘지 못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이에 대해 선관위측은 “개표 당시 전체 선거관리위원들은 선거인명부에 서명만 하고 투표용지를 반납한 것은 기권으로 해야 한다는 데 합의를 했으며, 당시 1번 이근수 후보측 선거관리위원은 이에 대해 전혀 문제를 제기하지 않다가 낙선이 확정되자 이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 또 이근수 후보조는 “○(동그라미) 표시 이외에는 무효표로 처리하도록 선거규칙에 되어 있지만, 일부 다른 표시 투표용지, 예컨대 ∨(브이) 표시 등을 유효표로 처리했다”면서 무효표로 처리할 경우 과반수를 넘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나섰죠.

- 이에 대해 선관위측은 “하나은행 선거규칙 제36조에 ‘○’표 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으나, 투표전에 전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합의한 내용은 ‘볼펜으로 ○’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합의했으며, 11월21일 전체회의에서 개표 시 조합원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도록 노력해야 하며, 불명확할 경우 선관위의 결정에 따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 과정에서 당선자인 김창근 후보는 “통합노조 첫 선거이기 때문에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가겠다”면서 “조합원 총회를 통한 찬반신임투표를 진행하겠다”고 나섰죠. 신임투표는 지난 1일 진행됐는데요. 아직 지방 소재 120개 분회에서 투표용지가 도착이 되지 않았습니다만, 전체조합원 4,633명중 3,800여명 정도를 개표한 결과 찬성이 74.24% 정도 나왔다는 게 선관위측 설명입니다.
 
<매일노동뉴스> 2006년12월 4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