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공동투쟁 결의대회 이후 양대노총의 행보는 이날 대회에서 거듭 촉구한 대통령 면담의 성사 여부와, 그 결과가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면담이 성사돼 현재 국회에서 아무런 논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제도개선 문제와 관련한 노동계의 요구를 청와대가 일정 부분 수용할 경우, 노정 관계는 대화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반면, 청와대가 면담 자체를 거부하거나, 면담에서 원칙론 이상의 그 어떤 '성과'를 내지 못할 경우엔 노동계로서도 당초의 투쟁 노선을 견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아직 공식 반응이 없어 속단은 이르지만, 정치권에서 현재 국정쇄신론과 민심 청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청와대가 노동계 대표의 면담을 마다하진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청와대로선 오히려 이를 적극 활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면담 시점은 노벨상 시상식 참석 이후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반면, 정부가 '개혁'이라 이름 붙인 공공부문 등에 대한 구조조정으로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에서, 아무리 청와대라 하더라도 이에 대한 상반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노동계의 요구를 쉽사리 받아 안기는 힘들 것이란 예측도 있다. 면담 성과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착목한 지점이다.

실제 면담이 불발되거나 성과 없이 끝날 경우 노동계는 투쟁동력이 저하된 상황에서도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투쟁 방식을 찾게 될 것으로 보인다.

양대노총이 연대총파업을 합의한 만큼, 공투위 논의를 거쳐 대규모 총파업은 아니더라도, 현안을 중심으로 한 공동집회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소규모 역량으로도 충격효과를 낼 수 있는 상징적 투쟁이나 '지구전'을 펴나갈 가능성도 높다.

노동계 일각에서 정부와의 대화 재개의 필요성을 거론하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성과 없는 대화 복귀는 곧 '백기항복'으로 비쳐질 수 있어 큰 설득력을 얻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정기국회 이후 상황까지를 내다봐야 하는 만큼, 투쟁의 '불씨'를 지펴가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