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고 하중근 씨 사망과 관련해 이후 투쟁 등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던 민주노총 중집회의가 성원 부족으로 '무산'되면서 결국 '간담회'로 대체됐다. 총원 53명 가운데 26명만이 참석하면서 1명 차이로 성원을 채우지 못했다.

비록 간담회였지만 이후 집회 등 투쟁 일정이 결정됐고 그 일정은 계획대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 지난 6월28일 열렸던 중집회의에는 총원 53명중 27명 참석해 가까스로 성원이 됐던 예도 있었던 점을 본다면 새삼스레 우려할 일도 아니다.

산별연맹 대표들은 절반정도만 참가했지만, 평소에도 중집회의에 드문드문 얼굴을 내밀었던 일부 대표자들이나 수배중인 대표자, 선거가 진행중인 조직 외에 주요 산별대표자들은 거의 참석했다. 지역본부장들도 사고 중인 지역본부 외에 14개 지역본부 가운데 5개 지역을 빼고는 모두 참가했다.

10명의 임원급 간부들 중에서도 중노위 심판 일정이 겹친 임원을 포함해 4명을 빼고는 모두 나왔다.

11명 가운데 2명만이 참가한 총연맹 실장급 간부들도 노사정 실무교섭, 미리 잡혀있던 수련회 등의 일정, 피치 못할 개인 사정 등 비교적 납득할만한 이유들이 있었다.

평소에 빡빡한 일정으로 채워진 중집성원들이 매번 회의에 참가하기도, 매번 높은 참가율을 보이기도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일부 중집위원들이 여름휴가 때문에 회의에 불참했다고 비판하기도 하지만, 그게 사실이라 하더라도 활동가들의 휴가사용을 무턱대고 비난할 수만은 없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저런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민주노총 의결구조 가운데 최고위급 간부들로 이뤄진 중집회의가 성원부족으로 무산된 것은 문제가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이 집회 도중 사망했고, 이에 따른 투쟁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사안이 사안인 만큼 '책임 있는' 사람들이 '책임 있는' 결정을 해야 했다.

최근 들어 민주노총 내부뿐 아니라 심지어 보수언론들도 나서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결의해도 "하는 곳만 한다", "민주노총의 '약발'이 안 먹힌다", "총파업 결정, 하나마나" 등의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책임 있는 의결기구 회의가 무산되거나 가까스로 성원을 채우는 등의 모습은 80만 조직의 민주노총 권위를 스스로 추락시키는 일일테다. 비단 중집회의만이 아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