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적 성격을 띤 환경 산업을 발전시키면 2012년까지 약 33만개의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환경단체인 환경정의가 대통령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등과 공동으로 22일 서울 중구 명동 은행연합회관에서 개최한 ‘환경·고용·복지의 통합 접근을 통한 사회적 일자리 창출 토론회’에서 발제자들은 환경산업 4개 분야에서 사회적 일자리를 대규모로 만들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자연자원산업에 대해 발제한 건국대 김재현 환경과학과 교수는 하천·습지 등 자연자원 복원 인력 1만5,400명, 자연자원 활용 인력 5천명 등 2012년까지 총 3만5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인하대 임종한 산업의학과 교수는 “어린이, 노약자, 저소득층의 건강 보호를 위해 음식, 대기 등의 질을 높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유기농 급식 서비스 3만5천명 등 환경보건산업 분야를 발전시켜 총 6만5천명의 고용창출 효과가 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지난해 제주도에서 친환경 유기농산물 학교급식 운동을 편 제주연대 등이 영양사, 조리원 일자리 500개를 창출한 것이 환경보건서비스의 좋은 예”라고 설명했다.

서울대 윤순진 환경대학원 교수는 풍력 개발로 약 6천~9,400개, 태양력 개발로 5천개, 가축 분뇨와 음식물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매스(Biomass) 산업에서 3만개 등 에너지 산업에서 최대 4만5천개 가량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마지막으로 환경오염 방지, 쾌적한 환경 유지 등 환경의 질을 관리하는 생산 활동인 환경산업에 대해 발제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최진석 책임연구원은 이 분야에서 18만4,600개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재현 건국대 교수는 “시민사회, 정부, 전문가, 기업이 함께 환경과 관련된 ‘사회적 일자리 센터’를 건립해야 하고 운영에는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