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산업연맹이 30일 '공동투쟁의 날'로 투쟁수위를 조절한 것은 각 단위노조의 여건을 고려한 현실적인 판단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현재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위기의식도 팽배해, 국회에서 근로기준법 개악안이 상정될 때는 민주노총의 방침대로 전면전에 나서겠다는 결의는 이날 중앙위에서 충분히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사실 이날 중앙위에서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해 30일이 아닌, 12월 이후로 미루자는 안도 적지 않게 제시되기도 했으나, 신자유주의의 공세에 맞선 투쟁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 30일 투쟁을 진행하면서, 구체적인 투쟁일정을 잡아가기로 했다.

이렇게 어렵게 금속연맹이 공동행동의 날을 결정한데에는 전체 민주노조진영 내에서의 금속산업연맹의 역할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교조, 공공연맹, 대학노조, 사무금융연맹 등의 일련의 다른 연맹의 투쟁과 연계해서 민주노총의 집중투쟁에 힘을 싣는 한편, 금속산업연맹이 이를 묶는 선도투쟁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 이와 함께 현재 구조조정 상태에 놓인 대우차, 쌍용차, 한국중공업노조의 사정에 맞춰 총력투쟁을 벌이게 된다.

그러나 이번 중앙위 및 비상단위노조대표자회의에서 솔직하게 드러난 현장노조들의 여건은 향후 금속산업연맹의 사업에 과제를 남기고 있다. 당장 연맹은 내년 2월 금속산별노조를 건설할 계획인데,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기아자동차노조 등은 아직 조직변경 결의 일정이 잡히지 않는 등 대기업노조들의 진척이 더디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게다가 하반기 투쟁에 대해 단위노조들의 입장이 구조조정과 노동법 개악 저지로 무게중심에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를 공동투쟁으로 묶어내는 것도 만만치 않은 작업이다. 금속산업연맹이 위축된 현장을 독려하고, 이 위기를 타개해 하반기 투쟁에 집중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