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노동자 112명이 지난 17일 근로복지공단 서초지사에 집단요양신청을 접수했다. 서울지하철 노사는 지난해 1월부터 7월까지 서울지하철노동자를 대상으로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및 근골격계 직업병 정밀검진을 실시한 바 있다.

노조는 "실태조사 결과, 근골격계 증상 설문을 작성한 5,803명 가운데 62%인 3,617명이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했고, 증상의 정도가 '중간 정도 이상'의 경우에 해당하는 노동자만도 1,000여명으로 드러났다"며 "이 중 증상이 심각해 의학적 조치와 요양이 당장 필요한 노동자가 159명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돼 집단요양신청을 접수하게 됐다"고 밝혔다.

노조는 또 "조사 결과 거의 모든 부서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직업적 요인이 발견됐으며, 그 위험도 또한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이번 조사결과와 무더기 직업병 환자 발생 사례에서 보듯 근본적 해결대안과 대책수립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임상혁 원진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은 서울지하철 노동자의 근골격계질환 요양 신청과 관련, "서울지하철공사 전체 유해요인 조사에 포함된 작업 총 439개 중 위험성 구분이 '상'에 해당하는 작업은 81개로 총 작업중 18.5%로 나타났고, '중상' 단계에 해당되는 작업은 171개 작업으로 39%, '중'에 해당되는 작업은 158개로 총 작업 중 3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임 소장은 "중량물의 취급, 부적절한 자세, 부적절한 공구의 사용뿐만 아니라 현장인력의 부족에서 발생되는 1인당 작업량의 증가와 작업시간, 스트레스의 증가도 근곡결계질환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됐다"며 "서울지하철공사에는 전체적으로 약 200명 가량의 정원대비 현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전직종에 걸쳐 있고, 뿐만 아니라 작업별 필수인원 산정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즉, 현장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작업 중 긴장 유발이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 노조에 따르면 서울지하철은 2월1일 현재 정원 대비 395명의 인원이 부족한 상태이다.

노조는 "현장인력 충원과 노동조건 개선으로 무리한 노동강도를 완화하는 데 역점을 둘 것"이라며 산재요양신청 노동자에 대한 근로복지공단의 전원 승인과 지하철공사에 대한 노동부의 현장개선과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감독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