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퀵서비스 종사자들이 ‘퀵서비스인권운동본부’를 만들고,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집회를 개최해 관심을 모았는데요. <매일노동뉴스>가 ‘운동본부’ 대표를 인터뷰 하던 중의 일화를 하나 소개해 볼까 합니다.

- 연락처를 수소문해 전화로 인터뷰를 마치고, 사진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요. 기자가 운동본부 대표에게 사진 파일을 이메일로 보내 줄 것을 요청하자, “십년 넘게 생업에만 종사하다보니 컴퓨터를 다룰 기회가 별로 없었다”며 “사진파일을 보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 인터뷰 기사에 사진이 꼭 필요했던 상황이라 기자 역시 곤란해 하던 참이었는데요, 이때 운동본부 대표가 묘안을 냈습니다. “마감시간 전까지 퀵으로 보내드릴게요.”

- 그리고 나서 얼마 후, 기자는 오토바이를 타고 온 사진을 받아볼 수 있었고요. <매일노동뉴스> 지면에도 사진이 첨부된 기사가 무사히(?) 실릴 수 있었다고 합니다.

'두사부일체'는 정권의 음모

- 영화 ‘두사부일체’와 ‘공공의 적2’가 사립학교법 개정을 위한 여당의 공작물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네요.

- 도대체 무슨 소리죠? 영화와 사학법 개정이 무슨 상관이 있다는 거죠?

- 예, 한나라당 대변인을 지낸 전여옥 의원이 지난 14일 대구 장외집회에서 “노무현 정권이 ‘두사부일체’와 ‘공공의 적’ 등 문화를 이용해서 사학법 개정에 성공했다”고 주장했는데요, 전 의원은 사학비리를 다룬 이같은 영화 때문에 국민들이 사학법 개정을 지지하고 있다는 거죠.

- 사학비리와 맞서 싸우는 조직폭력배를 코믹하게 그린 ‘두사부일체’는 2001년 작품이고, 사학재단의 비리를 다른 ‘공공의 적2’는 2005년 작품인데요. 전 의원 말대로 하면 열린우리당이 창당(2003년)하기도 전에, 아니 노무현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되기도 전부터 여당이 사학법 개정을 치밀하게 계획했고, 이 계획에 따라 ‘두사부일체’ 시나리오를 준비했다는 이야기가 되겠네요.

매일노동뉴스가 다시 이어준 소중한 인연

- 한국노총 한 간부가 <이러쿵저러쿵>으로 예전의 소중한 인연을 다시 맺은 사연이 뒤늦게 알려져 사람들의 마음을 푸근하게 하고 있다죠?

- 네, 백대진 대협본부 국장은 한국노총 사무총국에서 지난해 12월 크리스마스 이브 전날 산타할아버지 복장을 하고 ‘사랑의 열매’를 팔아 <쿵쿵>에 올랐는데요, 이 소식을 보고 학생운동을 할 때 함께 활동했던 한 후배에게서 연락이 와서 16년만에 재회의 기쁨을 맛보았다고 합니다. 백 국장은 지난 90년 대구경북총합생회연합 의장으로 활동을 했었는데요, 이때 이 후배가 함께 활동을 했다고 합니다. 이 후배의 이름은 김재경인데요, 당시 활동할 때는 ‘범벅’이라는 가명을 써서 전화에서 본명을 밝혔을 때 알아듣지 못했다는 후문도 있답니다. 과거 공안정국에서 학생운동 경험이 있는 분들은 누구나 공감하는 일일테지요.

- 그러나 16년만의 재회에도 불구하고 백 국장의 마음은 많이 쓰라렸다고 하더군요. 대구에서 활동을 하던 이 후배가 지난해 9월 인천 맥아더 동상 철거투쟁에 참석했다가 긴급체포 돼 현재 인천구치소에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백 국장은 연초인 지난 3일 면회를 갔다 왔다고 합니다.

- 백 국장은 이같은 소식을 전하며 “텔레비전 프로인 ‘TV는 사랑을 싣고’처럼 <매일노동뉴스>가 옛 동지를 만나게 해줘 너무나 고맙다”는 인사의 말을 남겼습니다.

버시바우 방문, 그후…

- 지난 12일, 버시바우 미 대사의 한국인터넷기자협회 방문이 무산됐는데요. 그 이후 상황은 어떤가요? 인터넷기자협회쪽에서 당시 민주노총에게 강한 유감을 표명했지요.

- 예, 그뒤로 인터넷기자협회와 민주노총이 공식적인 공방이나 입장을 주고 받지는 않았는데요. 하지만 기자협회 이준희 사무처장이 지난 15일부터 민주노총 홈페이지 게시판에 '버시바우 방문, 민주노총 비대위가 잘못한 것'이라는 제목의 글을 사흘간 잇따라 올려 민주노총을 강도높게 비판했습니다.

- 이준희 사무처장의 글에 대해 민주노총 관계자들은 공식반응은 일단 자제하고 있습니다. 또 사건 당일 민주노총 실무관계자가 기자협회를 찾아가 비공식적으로 미안하게 됐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민주노총은 당시 인터넷기자협회와 <민중의 소리>가 잘못했다는 입장에서 변화가 없는 것 같습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