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위한 민주노총 총파업이 12월1일 부산, 울산, 경남에서도 진행됐다. 노동자들은 지역별로 부산역과 울산역, 창원중앙체육공원에서 오후 2시부터 총파업승리 집회를 갖고 △비정규직 확산법 저지 △기간제 사유제한 △동일노동동일임금 △파견법 폐지 △불법파견 고용의제 등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쟁취를 결의했다. 경남에서는 노동자와 농민들이 결합해 민중대회를 열기를 했다.

부산지역은 한진중공업지회, 비엠금속 등 금속노조 6개 사업장 1,500여명이 낮 12시부터 파업에 참가했으며, 전국운송하역노조 6개 사업장 1,600여명이 오전 9시부터 1시간 파업을 벌였다. 일반노조 3개 사업장 100여명도 하루 파업을 참가했다. 전체적으로 15개 사업장 3,200여명이 파업에 참가했으며, 오후 2시 부산역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가졌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2일부터 부산역에서 시국농성에 돌입하고, 3일에는 부산농민회, 민주노동당 부산시당, 부산민중연대와 함께 서면에서 1차 부산시민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다.

울산지역은 금속노조 12개 사업장 2,000여명의 노동자가 1일 오후 4시간 부분파업을 벌였고, 자치단체 비정규직노조도 하루 연가를 내고 총파업에 결합했다. 울산지역 총파업 동력의 중심이었던 현대차노조는 임원선거로 인해 총파업에 참가하지 못했다. 울산지역 노동자 1,000여명은 오후 2시 울산역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가졌다.

경남지역은 대우조선, 통일중공업, 쌍용자동차, 대우종합기계, 센트랄, 범한금속, 일반노조 7개 지회, 동서식품 등 20개 노조 1만2,500여명이 1일 일제히 총파업에 돌입했다. 위아, 로템, 카스코, 조아제약, 사회보험노조 등은 확대간부 파업을 벌였다. 오후 2시 창원중앙체육공원에서 열린 총파업 집회에는 3,000여명의 노동자들이 참가했고, 이들은 오후 1시30분부터 한나라당 경남도당 앞에서 집회를 벌인 농민들과 결합해 오후 4시부터는 열린우리당 경남도당 앞 도로를 점거하고 ‘쌀 협상 무효,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 쟁취, 살인정권 규탄 경남민중대회’를 열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