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지하철의 안전 관리가 심각한 것으로 지적됐다. 8일 공공연맹 주최로 열린 '철도·지하철 안전운행 제도개선 마련을 위한 공청회'에서 백민호 삼척대학교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 안전관리 시스템의 현황을 심층분석하기 위해 신촌역(서울지하철), 신길역(철도, 서울도시철도), 부평역(철도, 인천지하철), 상무역(광주지하철), 신도림역(서울지하철), 사당역(서울지하철) 등의 역사 현장 조사를 실시해본 결과 이들 역에 대한 공통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상의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지적했다.

백 교수는 "지하공간은 폐쇄적 공간이기 때문에 화재, 폭발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고 지적하고, "피난방향이 지상으로 상방향이고, 출구가 한정돼 있는 점, 재난 발생시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알 수 없는 점, 외부로부터 소화구조 활동이 진행되기 어려운 점 등 안전 방재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밝혔다.

백 교수는 또 역사 현장조사 결과 “장비와 시설에 대한 역무원들의 교육이 미흡했다”며 “지하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장비와 시설이 새로 도입되었음에도 이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아 실제 사용자인 역무원들이 그 기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일례로 CCTV의 경우 정전시 작동 여부에 대해 역무원들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고, 무전통신설비의 경우에는 기능이 복잡해 오히려 사용에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이례상황에 대한 매뉴얼이 실제 배치 인력과 무관하게 규정돼 있어 실제 이례상황 발생 시 근무 역무원들의 자체적인 판단에 의해 대응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환승역의 경우 각 관할기관 사이의 연계 및 합동훈련 등이 전무한 실정”이라며 “환승역에서 이례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들 관할기관 사이의 유기적인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또 역사마다 역사의 규모와 이용객 수준을 고려한 적정수준의 안전관리인력의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역사 현장조사와 함께 5개 광역도시 전철 종사자 1,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현장에서 느끼는 안전사고 위험도에 대해 서울지역 종사자들의 76.4%가 '자주 느낌'과 '가끔 느낌'이라고 응답해 현장 종사자들의 위험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