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건강보험 등 사회안전망을 위한 비용 부담을 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이 더 크게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불합리한 사회안전망 비용 부담 구조 때문에 사회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국회 보건복지위 안명옥 한나라당 의원은 23일 소득분위별 소득 대비 비소비 지출(조세, 공적연금, 사회보험) 등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최저소득층의 경우 전체소득의 24.36%를 사회보장부담금 등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계층의 소득 대비 평균 비소비 지출 비율인 12.11%를 두 배 이상 상회하는 것이다. 반면 최고소득층은 소득 대비 평균 13.48%를 비소비 지출로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안 의원이 통계청의 <소득 10분위별 가계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월평균 44만6천9백78원을 번 최저소득층의 경우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세금 등으로 전체 소득의 약 25%에 해당하는 10만8천9백11원을 지출한 반면, 월평균 소득이 7백만원인 최고소득층의 경우 13.48%인 94만3천6백34원을 지출한 것에 그쳤다.

안 의원은 "결과적으로 사회보장부담금 지출로 인한 저소득층의 가처분소득이 그만큼 줄어들어 가계의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저소득층의 경우 비소비 지출 비율이 2003년 20.29%에서 24.36%로 4.07%포인트나 증가한 반면, 최고소득층은 2003년 12.04%에서 13.48%로 1.44%포인트 증가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안 의원은 "조세 및 공적부담금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현 체계 하에서는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는 갈수록 심화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저소득층에 대해 사회보험의 보장성을 강화하는 정책을 펼침과 동시에 사회보험의 부담금 체계를 개선하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