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경제협력과 교류를 위해 접경지에 거점지역을 개발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거점 개발지역으로는 파주시가 가장 타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대공학연구소·한국산업개발연구원·한아도시연구소는 한국토지공사 용역을 받아 이같은 내용의 `통일대비 거점지역 개발구상' 연구 결과를 최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남북 철도·도로복구와 접경지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에서 나와 주목된다.

@파주가 가장 유력

거점지역은 북한과의 연계성이 중요하므로 경기·강원 북부 접경지에 위치해야 한다. 특히 경원선과 경의선을 중심으로 남북 교통망 연결축을 끼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다 풍부한 배후시장으로 볼 수 있는 수도권과 접근성을 고려하면 경기북부지역으로 범위를 줄일 수 있다. 이 같은 곳으로 파주·연천·양주·고양·김포 등을 꼽을 수 있다.

연구에 참여한 기관은 북한과의 접근성, 관광환경, 자연환경, 지역산업환경, 환경오염, 지역복지환경, 법적인 제약 등 7개 항목으로 개발 후보지를 평가했다.

100점 만점으로 파주시 7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고 연천군 70점, 양주군 67점 등 순이었다. 파주는 경의선을 끼고 있고 서울과 임진각·통일공원의 가운데 위치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연천군은 경원선 축에 위치해 있으나 서울과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이 단점.

@거점지역 용도

거점지역은 우선 남북한 인적교류와 물류유통기지, 관광지로 활용할 수 있다. 평화시(市) 구상과 통일동산개발, 비무장지대 생태도시 조성 등은 이 같은 용도를 겨냥하고 있다.

거점지역은 남북이산가족 만남과 체류, 각 단체 인적 왕래를 중심지 기능을 맡을 수 있다. 연구 기관들은 "공동연구·학술회의·공연·스포츠 등 학술과 문화교류 공간도 거점지역 개발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비무장지대 생태도시를 관광지로 개발하고 물류기지를 조성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배후 거점지역을 개발해야한다.

@장기적으로 통일대비 개발 필요

서울대 공학연구소 등은 통일 초기 10년 동안 북한 인구 200만명이 수도권으로 유입될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주민 상당수는 북한과 가까운 경기 북부지역에 거주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분석된다.

통일 이전에도 경제협력이 활성화되면 접경지 인구유입이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접경지 거점개발에 나서야한다. 이는 남북연결교통망 수요 급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거점지역에 유통시설을 확충하고 교통·통신·전력·용수 등에 대한 집중 투자가 이뤄져야한다는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