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열린 8·15 민족대축전 행사를 통해 노동계가 노동자 통일운동 대중화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민주노총은 지난 1월 정기대의원대회에서 2만여명 조직 동원을 결의했고, 창립 10주년 기념행사와 함께 1억원의 예산을 잡는 등 올해 8·15행사의 비중을 높였다. 광복 60주년을 맞아 노동계 내에서 통일운동의 대중화를 목표로 한 것.

14일 상암월드컵공원에서 열린 6·15 공동선언 남측준비위 노동본부 발족식과 축구경기장에서 열린 개막식 및 남북축구 경기에 참가한 조합원을 모두 합치면 총 1만8천여명으로 민주노총은 추산하고 있다. 당초 목표였던 2만여명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치지만, 민주노총이 지난해 처음으로 8·15 행사에 1만여명을 동원했던 사실을 본다면 상당한 수의 조합원들이 행사에 참가한 것이다.

박민 민주노총 통일국장은 “13일까지 각 지역본부와 산별연맹에서 집계한 수는 2만1,730명이었지만 노동부문에 할당된 남북축구 입장권이 절반 정도 줄어드는 혼란을 겪으면서 참가를 포기한 조합원들이 많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지난해 8·15 행사에 2천여만의 예산이 소요된 반면 올해 행사에는 4천여만원이 집행된 것으로 전해져 인적, 물적 투자도 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박민 국장은 “단순한 수치에 연연하고 싶지 않다”며 “남북축구라는 매개체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통일행사가 활동가나 통일운동가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남북해외 동포가 참가하는 전 국민적 축제라는 점을 조합원들이 인식했다는 데 의미를 둔다”고 평가했다. 박국장은 또 “이후 막연한 대중화가 아니라 각 조직에서 통일운동에 대해 실질적인 토론과 사업 등이 진행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8·15 행사를 거치면서, 지난 2002년 부산, 광주·전남 등 일부 지역에 만들어져 통일선봉대 구성 등의 사업을 해 왔던 민주노총 자주통일실천단의 확대도 예상되고 있다. 박국장은 “실천단이 꾸려지지 않은 서울, 강원 지역 등에도 실천단이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여름에만 하는 ‘반팔사업’이 아닌 상설적인 통일운동 조직체로 만들어 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 16일 열린 남북노동부문 상봉모임도 지금까지 지도부간 숙소모임에 그쳤던 남북노동단체들간의 회담을 대중적이고 공개적인 장소에서 개최해 조합원들이 북쪽 노동단체 대표자들을 접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