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노사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2000년 임단협을 앞두고 공사가 행정자치부의 지침이라며 10월 상여금을 지급하지 않더니 2일에는 노조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하는 지회간부에 대한 현장복귀와 경위서 제출에 반발하는 차량지부의 작업거부에 대해 6명을 직위해제했다.

더구나 직위해제조치는 차량지부가 비상중집회의의 결정을 받아들여 작업거부를 철회하고 지축정비사무소 소장의 공식적인 유감표명까지 이뤄지고, 노조가 후속징계 조치가 있을 경우 노조차원에서 대응하겠다고 결정한 이후에 나온 것이라 더욱 반발을 사고 있다.

노조는 지난달 31일 상여금미지급에 항의하는 총회이후 공사가 상여금을 지급하기로 하고 차량지부의 작업거부투쟁도 마무리되는 듯 해 한숨 돌리고 임단협에 대비하려고 했으나 공사의 강력한 징계조치에 부딪히게 돼 당혹감마저 느끼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 내부반발 속에서도 무쟁의 원칙을 고수해온 배일도 위원장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노조는 일단 "지부에서 올라오는 투쟁을 노조가 방관하지 않는다"는 것이 원칙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이 배 위원장의 '무쟁의 선언'을 뒤집고 노조차원의 쟁위행위로 이어질 것인지는 좀더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배 위원장이 지난 31일 총회에서도 무쟁의 원칙을 고수할 의사를 내비친데다 "지하철노조는 파업이외에도 많은 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현장의 조직력이 많이 약화돼 있는 상황이어서 짧은 시간에 단체행동의 준비가 어렵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현재 분위기는 현장간부 중심으로 투쟁과 집회를 병행하면서 임단협을 통해 해결하자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결국 오는 7일부터 시작되는 임단협은 배 위원장의 '무쟁의 선언'과 작년 4.19총파업이후 현장분위기가 침체된 지하철노조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