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이수호 위원장 책임 아래 '노사정 교섭'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17일 중집회의 결과다. 이렇게 '쉬웠던' 것을, 그 동안 세 차례나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민주노총의 위상을 추락시킨 꼴이 되고 말았다. 적어도 중집 회의 결과만 보면 구태여 '폭력사태'를 부르지 않고도 처리할 방법이 있었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은 끝난 게 아니었다. 중집회의 다음날 모연맹 관계자가 전화를 걸어왔다. "중집회의 결과가 '노사정대표자회의' 참가로 결정된 게 아니었는데 회의 결과가 잘못 알려졌다"는 게 이 관계자의 주장. 당초 사회적 교섭 추진에 부정적이었던 인사들이 이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수호 위원장 역시 이런 분위기를 의식한 듯 기자회견에서 "노사정대표자회의는 일반명사가 될 수도 있고 고유명사가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기자회견문에도 '노사정대표자회의'가 아니라 '노사정간 대표자회의'로 명시돼 있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이번 기자회견에서 “노사정 교섭기구와 관련해 진전된 안이 나올 경우 추후 대의원의 추인을 받겠다”고 분명히 밝힌 상태다.

그렇다면 대체 결정된 것은 무엇일까. '사회적 교섭은 없지만 비정규 법안에 한해 노사정대표자회의(일반명사)를 추진한다'일까? 아니면 '비정규 법안을 시작으로 노사정대표자회의(고유명사)를 재가동해 사회적 교섭을 추진한다'일까?

중집이 모여 어떤 결정을 한 것은 분명한데, 그 결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이 다르다면 총파업의 주체인 조합원들은 어리둥절할 수밖에 없다. 대대가 '폭력'으로 민주노총 내부에 사회적 교섭을 둘러싼 이견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줬다면, 중집은 '해석'으로 이견이 있음을 천명한 셈인가.

때아닌 일반명사와 고유명사 논쟁. 공교롭게도 이수호 위원장은 국어선생님 출신이다. 이제 곧 4월이다. 해석을 둘러싼 논쟁이 책임 소재를 둘러싼 논쟁으로 비화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