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7년 중일전쟁 이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논조가 '친일적'으로 변했으며 그 배경에는 신문의 상업화 경향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신 연세대 강사(한국사)는 역사문제연구소가 발간하는 계간지 '역사비평' 2005년 봄호(통권 70호)에 '1930년대 언론의 상업화와 조선·동아의 선택'이라는 연구논문을 실어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1920년대 신문들은 판매부수 확장에 어려움을 겪어 일찍부터 광고시장 증대에 힘을 쏟았지만 산업개발이 미약했기 때문에 자연히 일본으로 눈을 돌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동아의 경우 1923년 전체 광고량에서 일본 상품광고의 비중은 36.1%였는데 이듬해 50%에 육박했고 1925년부터는 60% 안팎을 차지했다는 것이다. 조선도 동아보다는 늦었지만 1927년 일본 상품광고의 비중이 5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의 상업화는 지면에도 영향을 미쳐 압수와 정간을 피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장기 정간이 있던 해에는 광고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다수 독자들은 총독부의 정책을 비판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기사를 좋아해 총독부를 불편하게 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독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는 기사를 생산하는 데 주력했다는 것이 장 강사의 설명이다.
   
그는 이처럼 친일지와 민족지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신문들이 1936년 일장기 말소사건을 계기로 급격히 친일지로 기울어졌다고 분석하고 있다. 동아보다 먼저 일장기를 말소했던 조선중앙일보는 총독부의 인책 강요와 경영난 등으로 37년 폐간했고, 동아는 인사조치 등 총독부의 요구를 수용해 정간에서 풀려났다. 반사이익으로 호황을 누리던 조선도 총독부의 방침에 미리 순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 강사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과 함께 이전보다 강해진 총독부의 압박 속에서 조선중앙은 종래의 언론관을 고수하면서 폐간을 선택한 반면 동아와 조선은 기업의 길을 택했다"면서 "이후 두 신문의 지면에서는 총독부 기관지인 매일신보와 큰 차이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독부가 1940년 두 신문을 폐간시킨 까닭에 대해서는 "전시 물자조절의 목적 외에 동아와 조선으로 상징되는 이미지를 없애버리는 것이었으며, 아이러니하게도 강제 폐간은 '훈장'이 돼 해방 후 복간의 명분을  만들어주었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