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규약개정안의 통과로 한국통신노조(위원장 이동걸)와 계약직노조(위원장 홍준표)는 일단 비정규직 노조설립과 관련한 장벽을 제거했다.

계약직노조는 합법화의 길이 열리게 됐고, 한국통신노조도 지난 7개월간 규약 때문에 비정규직을 보호하지 못하다는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 하반기 구조조정이란 과제를 눈앞에 두고 있어 두 노조가 가야할 길은 멀고도 험난할 듯 보인다.

11일 임시대의원대회는 지난달 30일 대회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 시작됐다. 대회 예정시간 보다 2시간이 훨씬 지나도록 정족수가 채워지지 못했다. 주로 전남·북, 강원, 충남·북 지역본부 대의원들은 거의 참석자가 없다시피 했다.

지난달 30일 노조집행부는 지방본부장이 책임을 지고 대회를 성사시켜 규약개정안을 통과시킬 것을 공언하고, 그동안 지방순회까지 했지만 허사였던 것. 집행부는 회사측의 방해 때문으로 결론을 내리고, 이날 저녁 9시30분경 대회 유회와 함께 회사측과의 대화 단절 및 지방본부별 농성돌입, 계약직 노조가입 인정 등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한국통신의 현실에서 계약직의 독자적인 단결권을 보장해야한다는데 이견이 없었던 참가 대의원들은 좀더 시간을 갖자고 제안을 했고, 집행부는 결국 대의원 사퇴를 받아 정족수를 줄이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한마디로 계약직노조가 인정될 수 있도록 '특단의 조치'를 취한 셈이다.

그러나 이번 한 고비를 넘겼다고 해도, 앞으로의 고비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회가 어렵게 치러지면서, 민영화저지 투쟁을 앞두고 집행부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 현재 정부는 연말까지 정규직, 계약직 모두 4,500명 수준의 인원감축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두 노조의 공조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