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비정규노동자대회는 '정부의 비정규직법안 개악 저지와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 쟁취'를 위한 정규직·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공동선언의 날'이라고 볼 수 있다.

당초 민주노총은 하반기 투쟁계획으로 공무원법을 포함한 포괄적인 '노동악법 개악저지'를 이슈로 10월17일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부가 파견업종을 거의 전 업종으로 확대하고 기간제 사용기간을 늘리는 등 노동계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채 비정규법안을 발표하고, 이에 반발해 비정규직 노조들이 열린우리당 의장실을 점거하는 등 반발이 확산되자 17일 집회를 취소하고 10일 비정규노동자대회를 전 조직을 동원한 '총력집회'로 위상을 바꿨다.

또한 11월 이후 단독으로 비정규노동자대회를 개최할 예정이었던 한국노총도 비정규 입법과 관련한 급박한 상황에 공감하고 힘있는 대응을 위해 이날 집회를 공동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뿐만 아니라 금속연맹, 공공연맹 등 대단위 산별 연맹들이 조합원 총력 동원을 했으며, 공무원노조도 자체 집회를 마치고 이 대회에 대거 참가하는 등 정규직노동자들도 비정규노동자대회의 '주체'로 나섰다. 이전에 노동절 집회나 전국노동자대회를 앞두고 전야제 형식으로 치렀던 비정규노동자대회와는 사뭇 달라진 분위기다.

이는 정부 비정규입법안이 파견업종 확대를 통해 '정규직노동자들의 비정규직화를 도모하고 있다'는 노동계의 위기감이 확산되면서 비정규직의 차별적인 노동현실과 비정규직 권리보장 입법의 필요성을 정규직들도 공감하도록 한다는 취지로 보인다.

8일 양대노총은 정부 비정규입법안 저지를 위해 공동 총파업까지 하겠다고 밝혔고, 이날 대회는 이러한 양대노총의 의지와 더불어 조합원들의 공감대를 확인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또 한가지 주목할 것은, 비정규직들의 조직률이 아직은 답보상태에 있기는 하지만 이미 조직된 비정규직노조들이 현 상황과 관련해 선도적으로 대응하는 등 주체적 활동이 '약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비정규직노조들로 구성된 비정규연대회의가 1주일간 열린우리당을 점거하며 이부영 의장 면담을 통해 "정부안이 잘못됐다"는 입장까지 끌어냈고, 이는 결국 양대노총이 공동투쟁을 결정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