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빈곤을 이유로 한 자살은 731명, 사업실패를 비관한 자살은 426명에 이르렀다. 이는 김정훈 한나라당 의원(정무위)이 지난달 18일 발표한 외환위기를 전후한 자살 증감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또 가정불화에 의한 자살도 카드연체와 그로 인한 빚 독촉 등이 한 원인으로 꼽혔다. 경제적 어려움, 즉 빈곤이 사람들을 삶의 문턱 너머로 내몰고 있는 것이다.

신림동 신림교에서 노점상을 하고 있는 김원팔(61·서울시 관악구 신림동)씨의 한 달 소득은 70~80만원이다. 그마저도 장사가 잘 됐을 때 얘기다. 비가 많이 와서 장사를 나가지 못하는 날이 많은 여름철에는 한 달 소득이 2인 가구 월 최저생계비 60만9,842원에도 못 미치는 50~60만원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김원팔씨는 “할머니랑 나랑 둘이 사니까 살기는 살지 뭐…”하며 웃음 짓는다. 그러나 누군가 아프거나 다치기라도 할 때는 걱정이 아닐 수 없다. 하루 1, 2만원의 고정되지 않은 수입으로는 저축도 할 수 없는 형편.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데 저축이란 걸 할 수 있나.”

그러나 김원팔씨에게 경제적 어려움은 힘든 일이 아니다. “그래도 밥을 굶진 않잖아. 그것만으로도 행복한 거지.” 그것보다 더 힘든 건, 가난으로 인한 세상의 차별과 멸시다.

“구청에서 자꾸 나와서 우리 물건들 실어가고, 딱지 떼고… 그런 것들이 참 힘들어. 여차하면 나와서 물건들 싣고 가니 어떻게 살겠어. 그게 우리가 가진 전부인데 말이야.” 김씨가 신림교에 터를 잡고, 뻥튀기 장사를 한 것도 어언 10년이다. 그는 그 10년 동안 구청과의 싸움을 수차례 반복했다.

“돈이 없다는 게 참 서러운 거야. 그냥 나 혼자서 밥 굶지 않고 살면 괜찮은데, 힘 있고 돈 있는 사람들한테 무시당하고, 매도 맞고 짓밟히기도 하거든. 구청에서 (장사하는 물건) 다 가져가버리면 그거 찾아오기 위해서 얼마나 많이 싸워야 되는데. 돈 있으면 누가 길거리에 나와 이런 장사를 하겠어?” 탄식하는 그의 얼굴에 주름이 더 깊어지는 것 같다.

“단속이 하도 심해서, 여기저기 알아보다가 노점상연합에도 가입했어. 배운 것도 없고, 힘도 없어서 맨날 당하기만 했는데, 노점상연합이란 델 가입하니까 우리가 얘기하는 것들을 (구청에서) 조금씩 들어주는 거야. 그래서 요즘엔 물건들 압수당하면 단체로 가서 항의하고, 찾아오기도 해.”

그는 노점상연합을 통해서 함께 뭉치는 것, 즉 ‘연대’의 중요성에 대해 알았다고 한다. 같은 조건에 처한 많은 사람이 뭉치면 언젠가는 빈곤으로 인한 세상의 차별도 이겨낼 수 있지 않을까.

“정치하는 사람들도 알아야 돼. 돈이 없어도 열심히 살려고 하는 사람한테 제약은 하지 말아야 하잖아. 옛말에 가난은 나라님도 어쩔 수 없다는 말도 있지만 우리가 뭘 해달라는 게 아니잖아.” 그는 정말 아무것도 원하지 않았다. 그냥 언제 단속이 나올지 마음 조리지 않고 편히 장사할 수 있다면 그것으로 만족한다고 했다. 그리고 길에서 장사하는 사람도 똑같은 사람이라는 걸 인정받고 싶다고 했다.

“돈 없다고 무시하는 사람들도 많아. 분명히 자기가 직접 보고 물건을 샀는데, 다리도 채 건너기 전에 다시 돌아와. 그러면서 안 산다고 돈을 돌려달라는 거야. 자기가 직접 보고 샀는데도 그러는 건 사람을 무시하는 것밖에 안돼. 왜 길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은 지나가는 개도 웃고 간다고 하잖아.” 그의 말에 씁쓸함이 묻어난다.

인터뷰 도중 쌀과 떡을 가져온 한 아주머니가 깡통에 그것들을 담더니 “에구. 모자라네. 조금만 퍼왔더니 이걸 어쩌나” 한다. 깡통에 쌀이 충분히 차지 않았던 것. 김씨는 태평스럽게 웃으며, 짐 꾸러미에서 떡을 꺼내 깡통을 다 채운다. 그리고 땀을 주르륵 흘리면서도 뻥튀기 기계 앞에 앉는다. “요즘 신문을 보면 ‘내일은 희망이다’라는 글이 하나도 없어. 앞으로 세상을 살 후손들한테도 ‘세상 참 살만한 곳이다’는 생각이 드는 그런 세상이 돼야 되는데 말이야.” 그가 차별철폐 걷기대행진에 참여하는 이유다.

그가 하루 온종일 하는 뻥튀기에 ‘빈곤으로 인한 사회의 차별’은 튕겨나가고, ‘내일에 대한 희망’만 튀겨져 나오기를 희망해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