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찾아왔다는 뜨거웠던 올 여름 한복판는 건설일용노동자들이 거대자본 포스코를 상대로 했던 40여일간의 파업이 있었다.

3천여 조합원들과 함께 파업을 이끈 백석근 플랜트노조협의회 의장은 “거대 자본인 포스코를 움직여 하청노동자의 한계를 이겨낸 최초의 건설일용노동자 공동 임단협”이라고 이번 파업을 평가했다.

이번 파업의 성과는.

“파업의 쟁점은 다단계를 거친 하청업체에 소속돼 있는 건설일용노동자들이 그 다단계의 꼭대기에 있는 포스코를 어떻게 교섭석상으로 끌어내는가였다. 발주처(포스코)와 원청(포스코개발), 그리고 각 단종(하청)업체와의 관계에 대해서 3만여명의 플랜트 건설일용노동자들이 그 한계를 분명히 깨닫고 이를 타개하려고 했던 것, 이 과정을 통해 노동자들의 조직력이 더욱 강화되고 강고해진 것이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한계는 무엇인가.

“첫째는 비정규직이면서 전국적으로 흩어져서 일을 하는 건설일용노동자들이 여수·전남동부·포항 등 3개 지역에서 공동임단투를 진행했음에도 여전히 마산, 서산 등 플랜트 건설지역에서 근무하는 건설노동자들이 대체인력으로 투입돼 그 파급력이 떨어졌다는 점. 둘째는 비정규직의 대규모적인 파업의 형태는 분명 의의가 있지만 고용조건이나 노동조건이 열악해 파업을 하기까지 그 과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앞으로도 이 같은 문제를 법·제도적으로 해결하지 않을 경우 비정규직의 파업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40여일간 진행된 파업이었다.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교섭 중 하청업자들이 원청과 발주처에서 ‘저가발주’에 대한 해결책이 나와야 교섭이 가능하다며 교섭결렬을 선언하는 순간이었다. 하청노동자들이 원청, 발주처를 대상으로 어떻게 싸울 수 있을까가 고민됐다. 결국 (형식적인 고용계약 관계를 맺지 않은) 포스코를 상대로 싸우다 보니 공권력과 부딪혀 간부들 대부분이 수배자가 됐다.”

사법처리 문제 등 남은 과제는.

“공권력과 부딪친 문제는 수사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상급단체인 건설산업연맹과 민주노총 차원에서 정치적으로 풀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며, 지역에서도 사법처리를 줄일 수 있도록 치안 책임자들과 접촉하고 있다. 포스코와의 관계는 단병호 민주노동당 의원을 비롯해 포항과 전남동부지역건설노조가 포스코와 면담을 진행해 풀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