찜통더위가 이번 주를 고비로 꺾일 모양이군요.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더 찜통인 것 같습니다. 이런 더위에 자연의 품에서 즐거운 여름휴가를 만끽하신 분들도 계시겠지만 도시와 직장을 지키며 더위에 잠을 설치신 분들도 많을 줄로 압니다. 더위와의 힘겨운 싸움에서 승리를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박수를!

아 참! 그런데 한 가지 재미있는 건 올해 기온이 기록상으로는 예년과 별반 다를 바 없다고 하는군요. 그런데 왜 이렇게 더운 걸까요? 열섬 현상, 열대야 현상 때문이라는데 혹자는 짜증난다는 듯 런닝셔츠를 뒤집고는 이런 말도 합니다.

“부시한테 집단소송해야 되는 거 아냐”

미국이 교토협약(박스 참조)을 탈퇴한 걸 비꼬는 말이지요. 농담처럼 흘려들을 수도 있지만 곰곰이 되씹어 볼 부분도 있어 보이네요. 이번 더위가 이상기후에 의한 것이라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오존층 파괴로 남극의 얼음이 녹아내리고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하니 분명 무슨 연관이 있을지도….

한편 찜통더위는 빈부격차를 더욱 절실히 느끼게 만들기도 합니다. 단순히 신경질적으로 생각하면, 자가용과 건물에서 에어콘을 틀어 시원해진 공간만큼 열기는 바깥으로 빠져나가 우리를 더 덥게 만드는 측면이 있는 게 아닐까요. 속이 안보이는 뜨거운 중형차가 휙 지나갈 때면 더더욱 그런 기분이 들죠. 선풍기에서도 찬 바람이 나온다면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성격이 좀 다르긴 해도 자가용과 관련된 얘기는 <매일노동뉴스> 홈페이지에서도 있었습니다. 지난 4일 “석유 땜에 이라크전쟁이 났으니 자가용 버리고 석유 소비 줄이면 파병 막을 수 있다”는 권정생 선생의 글이 실렸는데요, 몇몇 네티즌께서 “현실성이 없다”며 짜증을 내시더군요. 이 기회에 잠깐 해명 아닌 해명을 하자면 권 선생님의 글은 ‘치밀한 법조문’이 아닌고로, ‘한 번 다르게 생각할 만한 여지를 주는 글’로 이해해 주심이 어떨지?

좌파 노동자신문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기고 있다는데요. 사회주의노동자신문(사노신), 노동자정치신문(노정신), 현장노동자신문(현노신) 등등 이름도 가지각색입니다. 노동자의 목소리가 커지는 일이니만큼 반길 만한 일이겠지요. 이번 기회에 <매일노동뉴스>도 제대로 된 노동자 신문이 돼야겠다는 다짐을 되새겨봅니다.

이와 관련, 이번 주부터 5명으로 구성된 <매일노동뉴스> 온라인팀이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합니다. 그 동안 미흡했던 기획·속보성 기사들이 <매일노동뉴스> 홈페이지를 화려하게 장식하리라 기대하셔도 좋습니다.

노동계는 이해찬 국무총리의 돌출 발언으로 시끄럽네요. “정부는 고소득 정규직 근로자들이 위법행위까지 하며 쟁의하는 것을 절대로 인정하지 않겠다”, “올해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생존권 차원에서 쟁의한 경우가 거의 없었던 반면 대부분 고소득 정규직의 쟁의였다”는 발언에 특히 열받는 분위기입니다.

총리님, 총리님, 우리 실세 총리님! 법과 원칙이 술술 잘만 풀려나오는 권력실세님들, 의원님들, 사장·회장님들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면 저희도 기꺼이 따릅지요!

이 총리와 비슷한 비판이 노동계 홈페이지에서도 떠돌아다녀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각종 노조 홈페이지에 올라와 있는 한국 ‘제3노동조합총동맹’ 창립을 준비하는 모임이라는 글이 주인공입니다.

내용을 보면 “한국의 양대 노동조합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1,500만명 절대 다수 노동자들의 희망이 아닌 절망일 뿐”이라며 “노사정이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과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제3노총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양대노총에 대해 아주 비판적인 사람이 추진하는 것 같군요.

‘레인맨’이라는 운영자가 인터넷카페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벌써 카페 회원이 77명이나 되더군요. 또한 미래노동자인 고등학생, 청년, 대학생을 포함해 실업자, 비정규직, 단위사업장 노동자뿐만 아니라 사용자, 정부도 참여할 수 있다고 돼 있습니다. 이들이 오프에서도 움직임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 교토의정서, 교토프로토콜이라고도 한다. 지구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한 국제협약인 기후변화협약의 구체적 이행 방안을 일컫는다. 1997년 12월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협약 제3차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됐으며 선진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치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산화탄소(CO2) 등 온실가스 최대 발생국인 미국은 배출량을 1990년 수준 대비 최소한 평균 5% 감축이라는 법적 의무에 반발, 개도국과 동등한 대우를 요구하며 기후협약에 계속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