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조는 이번 총선에 거의 ‘올인’한 듯 보인다. 민주노동당 지지·지원활동을 전면적으로 하고 있으며 진보적 정치환경 조성을 위해 조직적으로, 또한 노동·언론단체들과 연대하여 적극 활동을 하고 있다.

언론노조가 이번 총선에 이같은 힘을 쏟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22일 태평로 언론노조에서 신학림 위원장(사진)을 만났다.

“총력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한나라·민주·자민련 기존 보수정당은 국민민복은 뒷전이고, 당리당략만 추구하고 있지요. 기존 정당체제를 놔두고는 언론개혁과 국민민복은 없을 거라고 봅니다. 언론노조는 재벌의 방송장악 금지, 신문시장 정상화 등 여러 언론과제 수행을 위해 매진할 국회의원을 원하지만 기존 정당에서는 없었습니다. 다행히 이번 총선에서는 노동자 진보정당의 원내 진출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 소중한 기회를 놓쳐선 안 됩니다.”
최근 언론노조의 행보가 역대 집행부에서는 보기 힘든 것이었다는 질문에 신 위원장은 자신 있게 총력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언론노조의 총선방침이 나오기까지의 내부고민은 치열했다고 한다.

“지난해부터 총선방침을 어떻게 해야 하나 내부 토론을 많이 거쳤어요. 더 이상 지역감정, 지연·학연·혈연에 기반한 과거의 보도태도가 되풀이 돼선 안 된다고 봤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2월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는 특별결의문을 채택하고, 언론개혁에 유리한 정치환경 조성을 위해 총선특별기금 1만원 등을 결의할 수 있었습니다.”

이른바 ‘기계적 중립주의'를 고수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실체적인 ‘공정보도’를 통해 한국 정치 정상화에 앞장서야 한다는 데서 고민이 출발했다는 얘기다. 그런 의미에서 신 위원장은 언론노조, 민언련, 기자·PD연합회 등과 함께 지난 1월28일부터 이달 5일까지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전국 10개 도시의 전국 129개 언론사 보도·편집국장과의 순회토론회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사상 처음이었죠. 꽤 진지한 토론들이 이뤄졌습니다. 경마식, 미확인 보도 등 기존의 보도태도에 문제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고요. 4개 지역에서 지역 언론 책임자들의 공정보도를 약속했고, 언론·시민단체의 공동모니터 시행에 합의했습니다.”

이와 함께 언론노조 MBC본부의 총선보도 진보정당 10% 할당제 요구도 의미가 크다는 설명이다. 신 위원장은 “진보정당이 언론에서 외면 받고 있는 현실 타개를 위해 최소한 10%의 보도는 해야 한다는 MBC본부의 고민이 있었다”고 전했다. 물론 언론노조의 고민의 연장선일 테다.

또 언론노조는 ‘선거보도준칙 권고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기존정당 중심의 보도태도에서 벗어나고, 이벤트성 행사에 따라다니지 말고 정책나열식 정책보도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신 위원장은 “총선이 끝나면 각 언론기관이 제대로 이를 지켰는지 전국적 단위에서 철저히 평가할 것”이라고 칼을 벼렸다.

또 하나, 언론노조 활동 중 주목할 대목은 민주노동당의 TV초청토론회 출연을 가능하게 만든 것일 것이다. 당초 TV초청토론회 참여자격을 기존의 전국지지율 5%에서, 국회 정개특위에서 직전 선거 3% 이상 득표정당 후보자로 낮추기로 합의한 데는 언론노조 방송위원회지부의 역할이 컸다는 설명이다.

조직적 실천 활동에도 언론노조는 눈코뜰새 없이 바빠 보인다. 이미 이정호 정책국장을 창원을 지구당으로 파견보내는 등 민주노동당 지원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밖에 총선특별기금도 대체로 잘 걷히는 편이라며 조합원의 반응이 높다고 신 위원장은 전했다.

“그래도 방송을 시작으로 언론이 점차 나아지고 있다고 봅니다. 방송사 PD 등 언론인들의 고민이 많아요. 과거보다 공정한 보도·편성의 중요성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지요. 같이 고민을 나누고 있습니다.”
현재 언론의 보도태도에 여전히 문제가 많긴 하지만, 분명히 달라지고 있다는 신 위원장의 ‘희망’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역으로, 진보정당의 미디어 전략에 대한 조언을 한다면?

“민주노동당이 국회에 진출하면, 50년 부패정치를 깨고 패러다임이 완전히 바뀔 것입니다. 정치혁명이지요. 민주노동당은 이 같은 차별성을 알리는 데 끊임없이 언론사에 요구하고 모니터 해야 합니다. 언론도 진보정당을 외면하는 것은 유권자에 대한 직무유기임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연윤정 기자(yon@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