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0년대 중반부터 주춤했던 서울. 경기 지역으로의 노동력 유입현상이 올들어 다시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가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근로자들에 대한 산업별. 지역별 유출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7월까지 서울.경기지역에 1만7천172명의 근로자가 유입된 반면 울산(347명)과 제주(147명)를 제외한 다른지역들에서는 모두 근로자가 유출됐다.

지역별로 보면 인천지역에서 3천894명이 유출돼 가장 많은 인원이 빠져나갔으며다음으로 부산이 3천89명, 충북 2천591명, 경북 2천44, 경남 1천607, 전북 1천22,대구 999, 충남 935, 전남 519, 대전 306명 등의 순이었다.

산업별는 올들어 지난 7월까지 이동한 근로자 119만3천명중 제조업은 4만6천562명이 유출됐고 금융보험업 6천735명, 건설업 3천416명 등 전통적인 산업부문에서 노동력이 빠져나갔다.

이와달리 부동산. 임대 및 컴퓨터.연구개발 사업서비스업은 2만7천750명이 늘어났으며 교육서비스업 7천151명, 도소매업 5천588명 등 서비스관련 산업에 노동력인구가 유입됐다.

이와 관련 중앙고용정보관리소 관계자는 "그동안 경기회복을 선도했던 산업이벤처 및 정보통신사업이었던 만큼 이들 산업체가 주로 소재한 서울. 수도권지역에 노동력인구가 유입된 반면 지방소재 제조업 부문에서 노동력이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 90년 중반부터 분산 현상을 보이던 서울. 수도권지역 노동력인구가 올들어 지속적으로 유입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7월의 실업급여 지급현황을 보면 모두 7만3천여명에게 376억여원이지급돼 1인당 51만원이 지급됐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인당 지급액 59만1천원에비해 13.7%가 감소됐다.

이는 경기안정과 고용안정성이 높아지면서 실업급여 지급 대상근로자중 평균임금 수준이 높은 근속기간 5년이상의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진 반면 2년 미만 단기근속 근로자의 비중이 높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7월말 현재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652만여명에 달해 전체 임금근로자 1천326만명중 49%를 차지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