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주노동당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창당 초반에 비해 다소 위상이 높아진 민주노동당과의 관계에 있어 예전과 사뭇 다른 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민주노동당과 전국농민회총연맹과의 당명개정 논의를 포함한 정치협상이 타결된 것은 ‘민주노총 역할’에 대한 고민을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는 17일 중앙정치위 수련회에 참석한 민주노총 단병호 위원장이 ‘노동자 정치세력화’와 관련한 민주노총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정치위원들을 독려한 말에서 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무엇을 할 것인가를 중심에 놓고 논의하고 대응해야 한다. 내년 총선은 노동자들의 정치의식을 높이고 정치세력화 지평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민주노동당은 ‘계급정당’을 선언하기는 어렵지만, 자기 성격을 분명히 가지면서 가야 한다. 그 과제는 민주노동당에 속해 있는 우리의 문제다.

민주노동당 구성에 있어서 노동자 비중이 높긴 하지만, 그 비중을 더 높여야 하는 것도 우리의 과제다. 노동자가 민주노동당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한 목소리를 내고, 실천하는데도 노동자가 주체가 되고 책임을 져야 한다.”

이는 “민주노동당이 ‘노동자 중심성’을 더욱 강조해야 한다”는 민주노총 내부 주장과 일맥상통하는 말이다. 또한 3만여명의 당원 중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약 44%를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중에 비해 민주노동당 내 활동이 그리 적극적이지 않다는 사실도 이 같은 발언의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창당된 민주노동당이 긍정적이긴 하지만 ‘노동문제’ 이외에 정치, 경제, 교육문제 등으로 영향력과 활동방향을 확대하고 있고 그 비중이 높아지는 것도 지금 시점에서 민주노총의 ‘역할’을 다시금 강조하게 만드는 것. 또한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조합원 총투표를 통한 후보 선출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도 민주노동당과 민주노총간의 관계설정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민주노동당은 지난해 6월 지자체 선거에서 2명의 광역단체장과 31명의 기초의원을 당선시켰으며, 이 가운데 2명의 광역단체장과 18명의 기초의원이 민주노총 출신이다.

한편 민주노동당 권영길 대표는 이날 “전농과 정치협상 결과에 대해 일부에서 이러저러한 불만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양보해야 한다. 농민들의 입당은 신자유주의 반대투쟁과 정당명부제 승리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고 양해를 구하기도 했다.

송은정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