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정치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김형탁 정치위원장은 민주노동당의 의회진출이 기대되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긴장 속에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듯 보였다.

지난 4일 7차 정치위원회가 있은 다음날 오후 김 위원장을 만나 민주노총의 총선 준비현황에 대해 들어봤다. 그는 매 질문마다 "원론적인 얘기는 빼고 말하자면…"이란 말로 답변을 시작했다. 김 위원장의 고민이 구체적이라는 것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다.

- 민주노총이 설정하고 있는 내년 총선의 의미와 목표를 설명해달라.

"지난해 6·13 지방선거 때부터 계급투표 전략이 어느 정도 정착되고 있고, 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세력화 의미도 충분히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 내년 총선에서는 계급투표 의미를 실현시키는 것이 관건이고, 그러기 위해선 하반기 투쟁부터 정치사업을 결합시키는 게 필요하다.

민주노동당 당원 중 민주노총 조합원 비율이 42%라고 하지만, 총조합원 대비 당원수는 2%대에 머물러 정체돼 있는 상태다. 총선을 계기로 선거 이전까지 조합원 비율 5%대까지 당원을 늘려야 한다. 이는 방침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이뤄야 하는 목표다."

- 총선대응에서 후보선출과 정치기금 모금이 핵심이라 할 수 있는데, '민주노총 후보' 자격에 대해선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물론 노동자 정치세력화에 헌신적으로 복무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문제는 현직에 있는 유능한 간부들이 민주노동당에 투신하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고 후보로 나서지 않는다는 것인데, 노동운동의 경험을 정치세력화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가능성을 열어놓아야 한다.

노동운동 지도자들이 현직을 떠나면 외곽에 머무르곤 하는데, 이들의 전망을 민주노동당으로 적극적으로 배치해야 한다. 이것이 당의 발전과 민주노총 쇄신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 '비례대표 후보 노동할당'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노동할당은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처음에 이 문제를 제기한 사람도 나다. 그렇지만 이 문제가 오해를 낳고 있어 구태여 당과 민주노총간 갈등의 소지가 되는 걸 원치는 않는다.

다만 당이 노동자 중심성을 강화하고 대중조직인 민주노총에 대한 관심 측면에서 '노동할당' 같은 것을 생각하길 바란다. 농민 등 부문할당과 혼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해 민주노총이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니까 성과를 챙기려고 한다는 식으로 보고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중 당원이 50% 이상이 되면 말할 필요도 없는 문제겠지만, 현재 노동부문에 관심을 갖고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닌가.

민주노총에서 아직 공식적으로 결정된 바는 없으며, 당 발전특위에서 논의될 문제이고, 민주노총 내에서도 앞으로 논의될 것이다.

노동할당을 고집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이런 측면에서 동의되기를 바란다. 갈등이 된다면 다른 측면에서 논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민주노동당과 민주노총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해나가야 한다고 보는지.
"민주노총 내에 정치위원회가 있고, 정례협의회를 시도하기도 했지만 대중조직인 민주노총과 당과의 결합이 아직 제대로 안돼 있는 게 사실이다. 하부를 유기적으로 매개할 수 있는 단위가 필요하다. 현장 직장분회가 급속히 확산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민주노총도 직장분회를 건설하는데 소극적이었다. 직장분회가 또 다른 정파조직화 될까 우려하는 부분도 있지만 직장분회에 대한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분회는 모이는 데 의미가 있을 수도 있지만, 한 곳에 모여있는 직장분회는 구체적인 사업내용이 필요하다."

- 민주노총 임원선거가 총선 전에 있는데 정치방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없나.
"민주노총 선거시기에는 정치사업에 주력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당이 자기정체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심각하게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다. 민주노동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업에 대해선 모두 각인돼 있기 때문에 정치방침이 변할 가능성은 없다."

송은정 기자(ssong@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