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1일 민주노총의 총파업 이후 임단협 타결 사업장이 속속 늘어나면서 파업개시 6일째인 5일 사실상 막을 내렸다. 그럼에도 민주노총이 공식적으로 파업종료 선언을 못하고 있는 것은 이번 총파업 투쟁이 개별 사업장의 임단협과 조정 신청의 시기를 맞추는 방식으로 진행됐기때문.

단병호 위원장이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이번 총파업은 단위노조별 파업 중심으로 진행돼온 만큼 이를 중앙의 요구로 완전히 끝낼 수는 없다"며 파업은 임단협이타결되지 않은 일부 사업장에 한정될 것임을 시사했다.

결국 민주노총 방침에 따라 산하 노조의 파업이 거의 동시에 개시됐지만 사업장별로 파업을 중단하는 시점은 제각각일 수밖에 없어 집행부의 입장에서 일부 사업장에서 파업이 계속되는 한 총파업 종료를 공식 선언하기가 힘든 입장이다.

특히 보건의료노조 차수련위원장 등 총파업 투쟁에 참여한 11명이 업무방해 등혐의로 체포영장이 발부돼 있는 점도 민주노총 집행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일반 산업현장에서 총파업은 사실상 종료됐으며 임단협이 타결되지 않은몇몇 사업장에서 노사 분규가 진행되고 있을 따름이라는 것이 정부측 판단이다.

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총파업 참가자는 90개 사업장의 3만2천400명이었으나 5일 오전 9시 현재는 한국방송공사(KBS) 등 25개 사업장의 4천800명에 불과하며 병원도 경희대병원 등 5곳만 남았다.

이는 임단협 타결 등으로 총파업에 참가했던 노조원들이 대부분 정상업무에 복귀했기 때문으로 민간 제조업체 가운데 LG화학 등 대규모 사업장은 모두 파업이 끝났으며 서울대병원의 임단협 타결로 병원 노조들의 파업 동력도 힘을 잃은 상태다.

노동부 관계자는 "평소에도 분규 사업장이 50개에 달할 때도 있다"며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사실상 총파업의 여파가 없는 셈"이라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어쨌든 정부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총파업'이라는 과대포장된 이름아래 주5일제 근무 등 3대 요구사항의 일괄 타결을 주장하며 오는 10일의 민중대회등 집회 투쟁을 예정대로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