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행 요구안을 놓고 공동파업을 벌였던 인천, 대구, 부산지하철노조가 각각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노사합의에 따른 후속 작업과 조직수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지난달 28일 곧바로 노사합의를 이룬 대구, 부산지하철과 달리 파업 닷새만에 타결을 이룬 인천지하철의 경우 사측이 조합원을 포함한 파업참가자들에게 감사실 출석통지서를 발송한 것과 관련해 노사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인천지하철= 사측의 조합원 추가 직위해제와 감사실 출석통지서 발송과 관련, 노조는 "'조합 간부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최소화하고 조합원에 대해 인사상 불이익이 없도록 한다'는 지난달 28일 노사합의 파기"라며 반발하고 있다.

노조는 "감사실 출석통지서는 징계관련 조사를 위한 것"이라며 일괄거부 방침을 세웠다. 또 "공사의 무차별적 고소고발과 징계절차는 인천시 감사에서 확인된 사측의 인사비리와 관련해 노조의 입을 막고 압박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구심마저 든다"며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연대해 사측의 인사비리에 대해 추가로 감사 의뢰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노조는 지난 2일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김대영 부위원장을 위원장 직무대행으로 선임하고 파업기간 반조직 행위자 6명을 제명처리하는 등 조직정비에 나섰다. 지난 3일 경찰에 자진출두했던 노조간부 4명 중 정현영 위원장 등 3명은 구속됐다.

공사 근로복지팀 관계자는 "노사합의 전날인 27일 오후 5명을 추가로 고소고발했고, 감사실 소환은 조합원에 대한 징계절차가 아니라 소명기회를 주는 것일 뿐"이라며 "합의사항을 파기한 적은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안전운행 요구안 외 임단협 요구안과 관련해서 중재재정을 수용하기로 했던 노조는 8일 다시 임시대대를 열어 지난 7일 송달된 중재재정 설명회를 가졌다. 노조는 이번 중재재정에 대해 '조합원에 대한 노조교육 보장' 등 노조요구안이 어느정도 수용됐다며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부산·대구지하철= 인천에 비해 조기에 파업을 종료한 부산·대구지하철노조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내부 조직정비를 하고 있으며, 안전자문단 구성 등 '6·24 합의'에 따른 후속협상을 준비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노사는 지난 4일 상견례 형식의 실무협상을 가졌으며, 다음주부터 협상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부산지하철노조도 8월부터 노사협의회를 통한 협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대구지하철노조는 이번 파업과 관련해 구속, 징계자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노조내부 조직징계도 실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부산지하철노조는 사측이 고소고발한 10명중 2∼3명의 해고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부산지하철노조는 또 지난달 30일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조직적으로 파업에 불참한 승무지부장을 특별결의로 제명처리한 데 이어, 반조직행위자를 조사해 추가징계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공동파업과 관련, 부산지하철노조 관계자는 "단위노조로 안전문제에 대응하는 데 한계를 실감했다"며 "이번 파업을 통해 충분한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궤도산별노조를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송은정 기자(ssong@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