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9년부터 작년까지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연평균 5.5% 늘어난데 반해 시간당 임금(명목)은 10.4% 증가, 제조업의 비용경쟁력이 크게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발표한 ‘분기별 노동생산성 통계’에 따르면 지난 99년부터 작년까지 4년간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은 2000년을 지수 100으로 했을때 연평균 증가율이 5.5%,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10.4%를 기록했다.

이에따라 노동생산성을 시간당 임금으로 나눈 단위노동비용은 연평균 4.7% 증가,생산효율에 비해 기업들의 임금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생산성 증가추이는 2000년 전년대비 9.1%, 2001년 마이너스 0.7%, 2002년 8. 2%였으며, 시간당 임금은 매년 10%의 높은 증가율속에 작년에는 13.2%로 최고치를기록했다. 산출(생산량) 증가율은 2000년 17.1%, 2001년 0.9%, 2002년 7.3%로 연평균 8.2%증가했으나 노동투입량은 근로시간의 지속적인 감소와 근로자수 증가율의 둔화로 연평균 2.6% 늘어나는데 그쳤고 지난해에는 오히려 전년보다 0.8%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노동생산성은 사무기계, 영상, 음향기기 업종이 연평균 10%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가구.기타제조(-5%), 고무플라스틱(-4%)는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였다. 시간당 임금은 대부분의 업종이 연평균 10%의 증가율을 나타냈는데 특히 영상음향기기(14.2%), 전기기계(13.1%) 업종이 두드러졌다.

업종별 단위노동비용은 가구.기타제조업, 전기기계, 섬유 등이 연평균 12%가 넘는 높은 증가율로 비용경쟁력이 가장 약화됐으며 사무기계업종은 높은 평균 임금인상률(11.6%)에도 불구, 노동생산성이 평균 20%를 넘어서 오히려 7.6% 감소했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전기기계와 기타 운송장비업종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각각3.6%, 0.3%에 그쳤지만 임금은 34.7%, 45.9% 늘어나는 기현상을 보이기도 했다.

업종별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표준편차는 5.66, 시간당 임금상승률의 표준편차는2.39를 기록, 임금상승과정에서 업종별 특성과 생산성 수준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채 제조업 전체적으로 일률적인 임금인상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산자부는 “2000년 이후 임금증가율이 생산성증가율을 상회하는 것은 외환위기이후 억눌렸던 임금인상 요구때문이지만 이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산업은 비용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산자부는 이에따라 합리적인 임금인상과 노사협력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생산성본부 산하에 ‘생산성 혁신센터’를 설립하고 생산성과 연계한 임금제도를 개발, 내년부터 온라인을 통해 기업에게 제공키로 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