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인 개혁정책의 내용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세부 정책의 중요성과 운영방향에 있어서는 상당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즉 정책의 하드웨어는 그전 경제팀의 것을 대부분 그대로 지속하되 정책 운영의 소프트웨어는 시장친화적인 접근으로 포장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작년 대우사태와 금년 대규모 자금이동 및 현대사태 처리 과정에서 이미 시장은 정부가 상정한 수준이상의 엄격한 개혁을 요구하는 것을 우리는 경험했다.

따라서 개혁 정책을 경직적으로 추진하여 민간부문과 충돌로 인한 반작용을 감당하지 못해서 좌초한 1기 경제팀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서는 시장의 힘에 중심을 이동하여 정책의 유연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정책변화는 현실적인 선택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기 경제팀의 개혁정책은 두 가지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개혁을 시장의 작용에 맡긴다는 것은 개혁정책의 장래를 매우 불확실하게 하는 위험이 있다.

특히 힘의 중심이 정부에서 시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는 정부가 확실하게 민간부문의 선택을 존중할 것이라는 신뢰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점이 불명확하다

실제 60대 주채무계열기업 중 공적 자금이 투입된 은행과 산업은행이 55개 기업군을 처리해야 하는 구조하에서는 정부와 은행간의 구조조정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분명하게 하지 않으면 금융과 기업 구조조정모두가 공백에 빠질 위험이 있다.

또 국민들이 집단이기주의의 정서나 떼쓰기를 탈피하여 시장의 선택을 과연 수용할 지도 큰 의문이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