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배달호 조합원이 유명을 달리한 지 65일만에 장례식이 치러진다.

두달 넘게 두산중공업 창원공장 민주광장을 굽어보던 영혼도 이젠 안식처를 찾게 됐다.
유서 내용을 모두 이루진 못했지만 남은 사람들은 유지를 받들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나름대로 성과도 얻었다.

그렇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두산중공업에서 개인에 대한 손배·가압류는 해결됐지만 아직도 다른 많은 사업장에선 노동자들을 옥죄고 있다. 남은 해고자들 복직 문제 역시 불씨다. 고인이 '가진 자의 법'이라고 질타했던 파업의 합법성을 재는 잣대도 노동자들의 눈에는 여전히 공정하지 않다.
더욱이 이 모든 것이 하루빨리 개선되지 않는다면 '노사상생', '노사화합'의 구호들은 공허한 메아리가 될 수밖에 없으며 불행한 사태로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이번 사태는 여실히 보여줬다.

사태의 결과를 놓고 노동계와 재계의 평가는 다를 수 있지만 "다시는 이런 불행한 사태가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는 데는 한 목소리다. 빈소를 조문했던 숱한 사람들도 모두 같은 심정으로 고인에게 이렇게 다짐을 했을 것이다.

권기홍 노동부 장관은 방명록에 "사회통합적 노사관계를 꼭 구축해 드리겠습니다"고 썼으며 김상갑 사장도 "고인의 죽음이 두산중공업 노사발전의 밑거름이 되도록 모든 임직원이 노력하겠습니다"고 약속했다. 산 사람끼리의 약속 이상으로 망자와의 약속을 소중히 생각하는 게 우리네 정서다. 고인도 유서에 썼듯 "하늘나라에서 지켜볼 것"이기 때문이다.

김재홍 기자(jaehong@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