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사태가 27일로 50일째를 맞고 있으나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채 계속 원점에서 표류하고 있다.

특히 이번 두산중공업 사태는 노동부의 중재마저 실패했고 급기야는 대규모 폭력사태로까지 비화, 양측의 감정대립이 극한으로 치달으며 악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새 정부의 노동문제 해결 능력을 가늠하는 시험대가 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회사측의 임단협 일방해지로 무단협 사태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까지 맞았던 두산중공업 노사는 지난해 12월 극적으로 임단협 타결을 이끌어냈지만 지난달 9일 노조원 배달호씨의 분신 사망사건을 계기로 이면에 가라앉았던 앙금이 표출되면서 갈등이 심화돼 왔다.

두산중공업 사태는 지난달 22일 ‘사측이 나서서 포괄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노무현 당시 대통령 당선자의 발언으로 한 때 새로운 국면에 접어드는 듯 했으나 이후 사측이 ‘블랙리스트’를 작성, 조합원 성향에 따라 잔업·특근에 차별을 둬 왔다는 내용의 문서를 노조측이 공개하면서 또다시 파장이 걷잡을 수 없이 퍼져나갔다.

이처럼 양측의 갈등이 쉽사리 해결의 접점을 찾지 못하자 노동부가 이례적으로 지난 5일부터 22일까지 사측의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특별조사를 실시했으며 지난 24일 노동부의 조사발표 결과, 사측의 부당노동행위가 사실로 드러나면서 김상갑 사장 등 회사관계자들의 사법처리가 예고되는 등 사태는 거듭되는 반전의 연속이었다.

이 과정에서 노동부는 직접 나서 중재안까지 제시하고 나서 자율적인 해결에 실패한 노사가 타율에 의해서라도 화해할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졌으나 사측 이중재안에 대해 수용키로 한 반면 노조는 거부방침을 표명, 외부에 의한 해결 노력 조차 수포로 돌아간 상태다.

이처럼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회사와 노조는 몸싸움과 잇따른 추가 고소·고발로 감정의 골이 갈수록 깊어졌으며 급기야는 25일 밤 수차례에 걸쳐 노조원과 경비원이마찰, 38명이 다치는 대규모 폭력사태가 발생하면서 노사간 추후 협상에 대한 논의자체가 무기한 보류됐다.

양측의 갈등이 심화되는 사이 26일로 두산중공업 사태는 49일째를 맞지만 숨진 배씨에 대한 49재는 커녕 시신 수습 및 장례 절차까지 이뤄지지 못한 상태다.

새 정부가 노사자치주의를 원칙적으로 표방하고 있는데다 노동부 조사결과 부당노동행위가 사실로 드러났고 노조측이 금속노조나 민주노총과 연계, 다음 달 중으로파업에 다시 돌입한다는 방침이어서 회사로서도 사태의 장기화가 적지 않게 부담될 수 밖에 없다.

경찰이 26일 밤 발생한 폭력사태와 관련, 통상적인 노사 마찰 해결 수순인 공권력 투입을 보류하고 있는 점과 사측이 당초 초강경수에서 다소 선회, 노동부 중재안을 받아들이기 한 점도 노사자율 해결을 중시하는 새 정부의 방침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회사측은 노동부의 중재는 끝났지만 중재안 수용방침은 여전히 유용하다고 밝히고 있고 노조측도 사측과 계속 협상을 벌어나가겠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극적 타결에는 약간의 여지는 남아있는 상태다.

특히 이번 사태 해결은 공기업 민영화의 성공 여부에 대한 중요한 시험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태가 더이상 방치될 경우 노사 모두 ‘득’ 없이 크나큰 ‘실’을 얻을 수 밖에 없다는 교훈을 잃지 않고 노사가 하루빨리 해결점을 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