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총이 10일 전국노조대표자 결의대회를 갖고 창당준비위원회를 공식 출범시킴으로써 일단 한국 노동계는 사실상의 '양당 시대'를 맞게 됐다.

하지만 한국노총이 이날 대회에서 "개혁적이고 신뢰할만한 세력과 공동창당 또는 합당의 수순을 밟는 것"이라고 재확인한 데서 보듯, 여전히 독자정당의 진로는 유동적이다. 더욱이 두달여 앞으로 닥친 대선 관련 방침 또한 독자정당의 행보와 맞물려 있는 형국이다.

그럼에도 불구, 이날 결의대회는 그 동안 한국노총의 독자창당 가능성을 놓고 불거진 안팎의 우려 섞인 시선과 논란을 일소한 계기가 됐다고 볼 수 있다.

한국노총은 이날 대회를 계기로 내달 3일로 예정돼 있는 정식 창당을 위해 한층 더 발걸음을 재촉하게 됐다. 28개 연맹과 13개 시도지역본부가 동일하게 창당작업에 결합하고 있지는 않지만, 시동을 걸었을 때 어찌됐든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한국노총의 관례와 각 조직별로 46명의 집행위원이 임명된 것을 볼 때 '창당'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당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일부 조직들도 여기에 브레이크를 걸만한 명분과 방법을 찾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집행위원장을 맡은 권오만 위원장은 재정과 당원을 책임지고 해결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히고 있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현 정당법상 중앙당 창당조건이 국회의원 지역구의 10%인 23개 지구당을 창당하고, 1개 지구당 30명 이상의 당원만 확보해야 하지만, 적극 협조를 밝힌 전택노련, 금융노조 등 연맹과 지역본부가 움직일 경우 이런 창당조건을 충족시키는 작업은 어렵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당대표 영입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며, 박인상 민주당 의원(전 한국노총 위원장) 영입을 실패할 경우 이남순 위원장이 당대표와 위원장직중에 결단을 요구받을 수도 있다. 일부에선 한국노총 정치세력화를 위해선 기존 정당 의원 출신보다 현직 위원장이 당대표를 맡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도 있다.

한편으론 상층지도부만의 정치활동이 되지않기 위해 현장 조합원의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있어 창당시점이 채 한달도 남지 않은 상태이지만 '현장 정치교육' 등은 과제로 남아 있다.

민주노동당과 합당 여부가 초미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소위 한국노총내 개혁세력에서 불거지고 있는 "독자정당의 진로를 명확히 하라"는 요구에 대해서도 귀기울 필요가 있다는 주문이다.

결국은 한국노총 독자정당의 이후 진로에 따라 '노동계 양대 정당 시대'에 들어설지, '노동계 단일정당 시대'가 펼쳐질지 판가름나게 됐다. 독자정당의 이후 행보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