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대부분 지자체들이 2차 구조조정을 위해 전례 없이 '직권면직' 이란 칼을 빼어들자 지방 공무원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다.

특히 개방형 공무원제를 도입하는 등 상위직에 대한 감축도 벌였던 중앙부처와는 달리 퇴출 대상자 대부분이 기능. 고용직 등 하위직과 여성들이어서 집단 반발도 우려된다.

지난해 말까지 퇴출된 4만2천5백53명의 지방공무원 중 39.5%가 기능.고용직이었다.

행자부는 각 지자체에 부서. 직종별 감축 지침만 내렸을 뿐 구체적인 대상자 선정은 지자체 자율에 맡기고 있다.

행자부 관계자는 "지방공무원법상 직권면직은 자치단체장의 고유권한으로 기준을 획일적으로 제시할 수 없다" 고 밝혔다.

이에 지자체들은 대상자 선정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충북도는 각종 자격증 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징계기록.연령.병력 등을, 전남.전북도는 고령자와 기능.일용직을 우선 대상자로 선정한다는내부 방침을 세웠다.

전남도 관계자는 "결격 사유도 없는 공무원 수십명을 한꺼번에 선정하기가 난감하다" 고 밝혔다.

광주시의 경우 직권면직 대상자 1백20명 가운데 일반직은 10여명뿐이고 대부분이 기능직이다.

특히 같은 운전원이더라도 6, 7급은 시험을 치르지 않고 8, 9급만 시험을 치른다는 말까지 퍼져 직원간 갈등이 일고 있다.

이 때문에 하위직 공무원들의 살아남기 몸부림도 치열하다.

전북도청 이모(22. 여.행정사무 보조원)씨는 "기능직을 중심으로 직권면직을 할 것이라는 소문에 살아남기 위해 줄대기 현상도 벌어지고 있다" 고 말했다.

충북. 전북에서는 컴퓨터를 잘 해야 퇴출되지 않을 것이란 생각으로 컴퓨터 학원 등록 붐이 일고 있고, 광주에서는 필기시험에 대비해 업무 중 책에 매달리는 사람이 늘고 있다.

지방공무원 2차 구조조정은 지자체들이 얼마나 투명하고 합리적인 잣대를 마련하느냐가 관건이다.

한국외국어대 황성돈(행정학)교수는 "중간 관리직을 많이 줄여야 구조조정의 취지를 살릴 수 있다"며 "선진국처럼 직급별 감원 할당제와 감원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