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일 11개 부처의 개각을 단행하면서 장관, 청와대 복지노동수석, 노사정위원장 등 노동정책 '빅3' 중 2개장관(급)을 교체한 것은 향후 노동정책 기조와 관련해 주목해 볼만한 대목이다.

우선 노동부 장관의 교체는 지난 6월 호텔롯데 파업사태 이후 한달을 넘도록 해결점을 찾지 못하면서 '이제는 새로운 노동정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신임 장관은 지난 7월 노사정위원장 재임시절 금융노조 총파업사태에서 중재역할에 앞장서 주목을 받았다. 따라서 이번 인선이 향후 노사분규에 있어서도 신임 장관이 그러한 역할을 십분 발휘할 것을 주문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있다.

한편으로는 최 전 장관이 결국 보건복지부장관으로 제 자리를 찾아간데서 보여지듯, 전문성이 부족했던 인사를 지역안배차원에서 노동부장관자리에 무리하게 앉힌 '부적절한 인사'를 바로잡는 의미가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제 노사관계만큼은 노동문제를 잘 아는 사람이 때론 정치력도 발휘해가면서 원만히 풀어 나가야 하지 않겠냐는 의도가 없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동계는 새 노동진용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개혁성과 전문성 등 실제 노동현안을 풀어나갈 수 있는 능력을 최우선으로 꼽기보다는 이러저러한 명목의 '안배'차원의 인선이라는 해묵은 '불신'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어쨋든 현 시점에서 신임 노동부 장관의 일차 과제는 '노사관계 안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장에서 얼굴을 맞대고 대화와 타협의 정책을 펴겠다"는 포부를 밝힌 신임 장관이 장기화된 호텔롯데 사태를 어떻게 슬기롭게 풀어나갈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는 새 장관의 실력을 볼 수 있는 첫 관문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