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집중파업에 들어간 보건의료노조(위원장 차수련) 산하 병원노조들의 교섭이 일부는 타결이 됐으나 대부분 대형 병원의 교섭이 난항을 겪으면서 파업이 계속되고 있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달 31일로 24개병원 1만700여명이 총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첫째날 카톨릭중앙의료원 3개병원에 이어, 이틀째인 1일 이화의료원, 충남지역 4개의료원이 잠정합의에 이르면서 현재 19개 병원노조 9,300명의 조합원들이 계속 파업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날 이화의료원은 ▲인력확보 29명 ▲비정규직 전원 정규직화(22명) ▲임금 11.5% ▲노사동수 인사위원회 구성키로 했고, 충남 4개의료원도 공동교섭을 통해 ▲부족인원에 대한 적정인력 확보 ▲비정규직 확대 방지 및 정규직화 등을 골자로 합의했다. 지금까지 교섭이 타결된 병원은 최대 쟁점이었던 인력확충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통한 의료서비스 향상에 속속 합의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서울대병원, 경희의료원, 보훈병원 등 서울지역 대형병원들을 비롯, 국립대병원들이 대다수 난항을 겪고 있어 이들 병원의 타결여부가 이번 파업의 최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은 1일 현재 31일 실무교섭 이후 진전이 없고, 경희대의료원은 파업 이후 교섭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또 보훈병원도 퇴직금 누진제 폐지에 대한 노사간 입장이 팽팽해 교섭이 힘들고, 경상대병원은 31일 저녁 병원측이 직장폐쇄, 손해배상청구, 쟁의기간 중 무노동무임금 적용 등의 방침을 밝히면서 노사간 교섭이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보건의료노조는 이번 파업이 비용절감을 이유로 인력감축과 비정규직을 확대해오면서 촉발됐다며, 정부의 병원 구조조정 방침이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예컨대, 국립대병원이 난항을 겪는 이유 중 교육부의 인력가이드라인 등이 자유로운 교섭을 방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4일 울산대병원노조 등 4곳, 7∼9일에는 목포카톨릭병원노조 등 9곳이 추가로 파업에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