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기'를 지난 해 대우사태의 `재판(再版)'으로 보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여건과 기업내용을 감안할 때 현대그룹의 위기상황은 대우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자금조달 능력 있다

정부는 현대가 마음만 먹는다면 유동성 문제는 현대 스스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대우와 가장 큰 차이점이다. 기업이 어려워지면 결국 모든 문제는 유동성 위기로 이어지기 마련이지만 현대의 경우에는 드러나지 않은 `예비실탄'이 적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다.

금감위 관계자는 26일 "현대그룹측이 자기 돈을 동원할 생각은 하지않고 채권금융기관에 자꾸 손을 벌이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대우의 경우에는 수개월에 걸친 모니터링을 통해 대우그룹에 돈이 남아있지 않다는 점을 확인하고 워크아웃에 들어갔다"며"현대의 경우에는 6월중 하기로 약속했던 IR(기업설명회)도 건너 뛸정도로 무성의하고 폐쇄적"이라고 지적했다.

●경영권분쟁 종료가 관건

정부의 생각하는 현대해법은 시장신뢰의 회복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영권 분쟁의 조기종료와 신속한 계열분리다.

대우의 경우에는 재무상태가 최악으로 치닫는 과정에서도 회사채, CP(기업어음)를 통한 자금조달이 상당기간 동안 가능했다. 상황이 나빠지는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았고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에 대한 시장기대도 존재했다. 하지만 현대의 경우에는 정반대다. 채권시장에서부터 돈줄이 막혔다.

회사채, CP 등 여신성 유가증권 비중이 전체부채의 70%에 달하는현대가 위기를 탈출할수 있는 방법은 시장신뢰 회복을 통해 차환발행시키는 것 뿐이다. 은행이 돈을 풀어 해결할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채권시장 관계자는 "시장에서 현대의 자산매각계획에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은 없다"며 "유일한 관심사는 현대 채권에 대한 차환발행 가능성"이라고 말했다.

●시장파장 대우보다 적을듯

금감위 관계자는 "현대측의 비협조로 `속내'를 들여다 볼 수는 없지만 부실정도는 대우그룹에 비할 바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대우의 경우, 지표상 부실예측이 가능할 정도로 부실이 심화됐었다. 하지만 현대는 각종 재무비율에서는 여전히 우량기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독자생존'이 가능한 주력사들이 상당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에 대한 정주영 전명예회장의 지분처리가 일단락되고 계열분리 작업이 상당부분 이뤄진 현대중공업, 전자만 `보호'할수 있다면 시장파장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에 비해 대우는 전계열사가 부실화된 상태에서 `집단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