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공무원들의 육아휴직이 최근 3년간 3배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7일 행정자치부가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6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2001년 공무원 육아 및 출산휴가와 직장보육시설 운영실태 보고서’ 에 따르면 지난해 10월1일부터 올해 9월30일까지 1년간 육아휴직 이용자는 전체 이용대상자 2만7278명중 5.2%인 1410명이었다.

이 기간중 육아휴직을 이용한 남성공무원은 모두 75명으로 지난 99년 25명에서 지난해 50명 등으로 최근 3년간 3배나 증가했다.

여성 공무원 육아휴직 이용자는 지난 99년 578명에서 지난해 894명, 올해 1335명 등으로 같은 기간 2.3배 증가했다. 또 육아휴직 대상 남성중 육아휴직 이용률도 지난 99년에는 0.06%였으나 지난해 0.2%, 올해 0.3%로 3년간 5배나 증가했다. 여성공무원은 비율상으로는 지난 99년 2.04%에서 지난해 3.6%, 올해4.9%로 2.5배 많아졌다.

출산휴가 이용자는 전체 여성공무원 9만1954명중 9.2%인 8464명이었으며 이들중 4.2%는 법정 휴가일수인 60일을 모두 이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올해 11월1일부터 출산휴가가 90일로 늘어나면서 법정휴가기간을 못 채우는 여성공무원의 숫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행자부는 지적했다.

직장보육시설은 중앙행정기관의 경우 47곳중 30곳이 설치돼 있고 4곳은 설치중이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16개 시·도중 9곳만 설치, 여성공무원들이 업무와 육아를 병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순 행자부 여성정책담당관은 “육아 및 출산휴가의 이용을 늘리기 위해서는 퇴직공무원으로 인력풀을 구성, 업무공백을 보완하고 예산편성시 육아 및 출산휴가를 위한 대체인력 확보에 우선적으로 예산을 편성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담당관은 또 “직장보육시설 설치를 적극 권장할 수 있도록 영유아보육법상의 기준을 강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벌칙을 부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