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 유수 신용평가기관들이 잇따라 한국의 금융부분이 미완의 기업구조조정과 늘어나는 은행 부실로 여전히 건전성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인 S&P는 지난 18일 발행한 ‘세계금융시스템의 문제점’ 보고서에서 4대 재벌이 지난해 부채비율을 174%로 낮춘 것은 겉치레에 불과하며 부채의 절대규모는 조금밖에 감소하지 않아 이자부담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또 부실기업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과정에서 금융기관이 해준 대규모 출자전환은 부실채권을 해소한 것이 아니라 처리를 연기시킬 뿐이라고 비판했다. 98년 6월 워크아웃제도가 도입된 이후 금융기관이 부채를 자본으로 전환한 규모는 모두 28조4000억원에 달한다.

S&P는 은행들의 자본금 확충과 관련, 한국의 주요은행들이 후순위채를 잇따라 발행하고 있지만 후순위채는 기본적으로 은행에 이자부담을 주기 때문에 은행의 재무구조개선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하는 질이 낮은 자본금이라고 보아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계 금융권 전문 신용평가기관인 톰슨파이낸셜뱅크워치도 20일 ‘한국 금융시스템의 문제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강화된 자산건전성 분류기준(FLC)에 따르면 한국 시중은행들의 고정이하 부실여신은 자기자본과 대손충당금 합계의 110%에 달한다”며 “다른 어떤 방식으로 측정하든 한국의 은행시스템은 아직 건강한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은행들이 대부분 올해 이익수지를 올리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필요한 수준보다 적게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은행들이 내놓은 장밋빛 이익 전망을 그대로 믿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