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를 쓰다 폐질환 등을 진단받고 사망한 사람이 1만4천여명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올해 7월까지 정부에 접수된 사망자 수는 1천500여명으로, 이번 조사에 따른 추정치의 11% 수준에 불과하다.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 가습기 살균제 사건 진상규명 소위원회는 27일 오전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습기 살균제 피해 규모 정밀추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정부·연구기관이 여섯 차례 수행한 역대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조사 중 가장 큰 규모의 표본인 1만5천47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10~12월 만 19~69세 성인 남녀 5천 가구를 면접조사했다.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파악된 가습기 살균제 사용 비율을 주민등록인구 수에 적용했더니, 1994년부터 2011년까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사람은 약 627만명으로 추산됐다. 이중 가습기 살균제 관련 특정 질병으로 꼽히는 △간질성 폐질환 △폐렴 △천식 △만성폐쇄성 폐질환 등을 진단받은 사람은 약 9만명이다. 피부질환처럼 보다 넓은 범위에서 건강 피해를 입은 사람은 67만명 정도로 파악된다. 특정 질병을 진단받고 사망한 사람의 추산치가 1만4천명 수준에 달한다는 결과도 나왔다. 환경부 산하 준정부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이달 기준 확인한 사망자는 1천533명으로 연구 추정치와 편차가 크다.

특조위는 “(1994년부터 2011년까지 판매된) 가습기살균제의 사용기간이 상당 기간 지남에 따라 회상오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오래 전 일에 대한 응답자들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한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특조위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보건복지부를 포함한 범정부 차원에서 피해 규모 파악에 나설 것 △대형마트 구매이력을 활용해 피해자 질환을 추적하는 체계를 만들 것을 정부에 제안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